사회 사회일반

"물가 안정 우선" vs "저금리 포기를"

여야, 선관위 주최 토론회서 민생문제 열띤 공방

여야가 TV 앞에서 물가, 전월세 등 민생 문제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한나라당ㆍ민주당ㆍ자유선진당ㆍ미래희망연대ㆍ민주노동당ㆍ창조한국당ㆍ진보신당ㆍ국민중심연합ㆍ국민참여당 등 여야 9당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정당정책토론회에 참여했다. 이날 토론회가 지상파 TV로 생중계된 가운데 야당은 이구동성으로 정부여당의 고환율ㆍ저금리 기조 전면 수정을 촉구했다. 우제창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서서히 금리를 올려 유동성을 흡수해야 하는데 관료들이 눈치를 보느라 타이밍을 놓쳤다"며 "이제라도 금리를 서서히 올려 `물가를 잡겠다'는 시그널을 줘야 하고 정부는 환율시장에 대한 의도적인 개입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진 진보신당 부대표는 "물가를 잡기 위해 고환율ㆍ저금리의 성장위주 정책을 포기해야 한다"고 가세했고 임영호 자유선진당 정책위의장은 "정부의 물가대책은 전혀 시장에서 먹히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벽규 창조한국당 정책연구소 부소장은 "정부가 먼저 대기업 중심으로 갈지, 서민 중심으로 갈지 국정기조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승덕 한나라당 의원은 "지속 가능한 성장은 물가안정이 바탕이 돼야 한다. 성장을 위해 물가를 희생했다는 것은 옳지 않다"며 브라질ㆍ영국ㆍ중국에 비하면 국내 물가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반박했다. 그는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은 가계부채 때문"이라며 "성장률이 올라야 환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환율만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세현 미래희망연대 사무총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5%인데 수입물가 상승률은 12.7%로 수입물가 상승률을 잡는 게 물가를 잡는 지름길"이라며 거듭 환율인하를 촉구했다. 오옥만 국민참여당 최고위원은 "정부가 51개 생활필수품에 대한 물가관리를 선약했으나 이들 물가는 20% 가까이 올랐다"고 일갈했다. 이의엽 민노당 정책위의장은 "정부가 충분히 조정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갖고 있음에도 결과를 외부 요인으로 돌리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