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올 하반기 경제 환율이 최대변수"

하나금융경영硏 전망

환율 변동이 금리나 유가에 비해 하반기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1일 ‘2006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원ㆍ달러 환율은 하반기 평균 930원으로, 콜금리는 3ㆍ4분기와 4ㆍ4분기 각각 4.40%와 4.50%로, 두바이유가는 분기별 64달러와 61.5달러로 각각 전망했다. 연구소 측은 이 같은 전망을 토대로 하반기 국내총생산(GDP)이 3ㆍ4분기 4.3%, 4ㆍ4분기 3.8% 늘어 연 4.81%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들 경제지표가 전망치보다 추가 변동될 경우 원ㆍ달러 환율의 변동이 GDP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ㆍ달러 환율이 전망치보다 2% 추가 하락할 경우 GDP는 0.42%포인트(3ㆍ4분기)와 0.44%포인트(4ㆍ4분기)씩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경우 연간 GDP는 애초 예상치보다 0.23%포인트 줄어든 4.58%로 크게 낮아지게 된다. 반면 금리 추가 인상으로 인한 경기위축은 환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예상됐다. 하반기 콜금리 전망치인 4.40%(3ㆍ4분기)와 4.50%(4ㆍ4분기)보다 0.25%포인트씩 두 차례 더 인상되면 GDP는 분기별로 0.07%포인트씩 감소, 연간 0.04%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는 하반기 전망치인 64달러(3ㆍ4분기)와 61.5달러(4ㆍ4달러)보다 2%씩 추가 인상되면 GDP가 당초 전망치에 비해 0.02%포인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하반기 국내 경제는 완만한 둔화국면이 예상되면서 여러 경제지표의 변동성 확대가 경제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것으로 우려된다”며 “특히 환율 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금리나 유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