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 7,306개社 "경영상태 좋다" 9.7% 뿐

[中企지원 종합대책] "2001년말이후 악화" 61%나 달해<br>투자계획 유보 30% 대출연체 17.5%‥경영안정 정책 "경기회복" 꼽아

정부는 중소기업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사상 유례 없이 7,306개에 이르는 기업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실태조사를 벌였다. 정부가 7일 밝힌 조사결과는 장기침체와 구조적 부실로 만신창이로 전락한 중소기업의 실태를 말해주고 있다. 조사에 응한 중소기업 중 52.3%는 현재의 경영상태가 나쁘다고 밝혔으며 좋다는 업체는 고작 9.7% 그쳤다. 현 경영상태가 나쁘다고 응답한 비중을 업종별로 보면 숙박ㆍ음식 74%, 부동산ㆍ임대 64.5%, 도소매업 54.4%, 제조업 50.1% 등의 순이다. 경영상태 악화의 원인은 ‘매출감소’(64.3%), ‘시장경쟁 격화’(31.7%), ‘납품대금 회수곤란’(21.6%) 등 주로 실물적 요인(복수응답)에 기인했다. 주목되는 대목은 지난 2001년 말 이후의 경영상태에 대해 악화됐다는 기업이 61.2%에 달한다는 점이다. 30%의 중소기업이 올해 중 투자계획이 있었으나 유보했다고 응답했으며 유보원인으로는 ‘불확실한 경기전망’(49.9%), ‘투자자금 조달곤란’(35.9%) 등이다. 재무현황은 더 심각하다. 중소기업의 17.5%가 현재 이자나 원금을 연체하고 있으며 업종별로는 숙박ㆍ음식업(31.1%), 부동산ㆍ임대업(21.3%) 등 내수서비스업의 연체율이 높았다. 자금조달은 여전히 은행 등 금융기관을 이용하고 있었다. 은행대출(75.9%) 비중이 가장 크고 ‘제2금융권 대출’(7.95%), ‘정책자금’(6.81%) 등의 순이었다. 회사채는 1.35%에 불과했다. 금융기관 차입조건으로는 순수신용대출 비중은 13.7%에 불과하고 ‘부동산 담보’(40%), ‘신용보증서’(30.4%) 등 대부분이 담보대출이다. 회계투명성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를 보였다. 중소기업의 71%는 스스로의 회계투명성이 높다고 응답한 반면 금융기관의 임직원은 3.9%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향후 경영상태 호전시기에 대해 43%는 올해 중에 호전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나 36.8%는 호전이 어렵거나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경영안정을 위해 필요한 정부정책으로는 68%가 경기회복을 꼽았다. 백화점식 대책보다는 불확실성 해소를 통한 경기의 상승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 ‘자금지원’(39.1%), ‘원자재 수급안정’(14.8%), ‘규제완화’(10.4%), ‘정치안정’(9.9%)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정부가 한국갤럽에 의뢰, 실시했으며 중소기업 여신상위 6개 은행과 거래하는 5,309개사와 보증기관을 이용하는 1,997개사, 은행과 보증기관 임직원 1,552명을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