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 펀드닥터] 채권형 고수익에 설정액도 증가


금리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 강세현상이 이어졌다. 반면 주식형 펀드는 증시 조정의 여파로 약세를 보였다.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이 17일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지난 1주일간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성장형 펀드(약관상 주식투자한도 70%초과) 수익률은 평균 -0.55%로 약보합세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지수가 일주일새 0.56% 하락했기 때문이다. 주식투자비율이 이보다 낮은 안정성장형(40~70%)과 안정형(10~40%)은 각각 0.01%, 0.16%의 수익을 올렸다. 이는 채권부문에서 수익이 난데다 성장형 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한 중형주와 소형주가 각각 1.22%, 1.60% 상승한데 힘입은 것이다. 운용사별로는 유리운용이 1주일 수익률이 0.69%로 가장 높은 성과를 냈고 PCA운용(0.57%)과 SEI에셋(0.13%), 신영운용(0.03%)도 그런대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대체로 배당주와 중소형주 펀드 비중이 높은 운용사들이다. 연초부터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 채권형 펀드는 지난 한 주 동안에도 0.16%(연 8.28%)의 고수익을 올렸다. 이에 따라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도 증가세로 반전됐다. 채권펀드 자금은 1월20일부터 26일까지 9,116억원이 감소했으나 그 이후 –7,840억원(1월27일~2월2일), -2,060억원(2월3일~9일) 등으로 감소 폭이 둔화되더니 지난 한 주 동안에는 1,370억원이 늘어났다. 300억 이상 채권 펀드 운용사 중에서는 KB운용이 연 12.86%로 주간수익률이 가장 높았고 PCA와 푸르덴셜운용이 각각 연 10.99%, 연 9.50%의 수익률로 좋은 성적을 냈다. 한편 자산운용협회가 지난 16일 기준으로 집계한 펀드 설정액은 1주일간 4,249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주 1조원씩 증가했던 지난 1월 중순까지 상황과 비교할 땐 적지만 지난 1월20일~26일까지 2,625억원이 감소한 이래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이 가운데 증권 및 단기금융이 한 주간 2조7,366억원 증가한 195조6,296억원을 기록했고 채권형도 1,370억 늘어난 47조9,846억원에 달했다. 채권형 자금이 주간으로 증가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12월 22일~28일까지 2,808억원 증가한 이후 처음이다. 주식형도 4,249억원, 주식혼합 112억, 채권혼합 2,965억, MMF 1조8,671억원 등 대부분 유형에서 자금이 증가세를 보였다. /최상길 ㈜제로인 상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