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예비역 장성들 "마음착잡, 잠못잤다"

성우회 회장단 긴급 회동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 논란과 관련, 전직 국방장관 등을 비난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21일 발언에 따른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예비역 장성들의 모임인 성우회는 22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성우회 사무실에서 긴급 회장단 회동을 갖고 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대책을 숙의했다. 공군 참모총장을 역임한 김상태 성우회장은 이날 회의에서 노 대통령의 언급을 ‘중대발언’이라고 규정한 뒤 “역대 국방장관을 비롯한 군 원로들은 국가안보를 위해 한평생을 바친 분들인데, 대통령 말씀에 나 역시 착잡한 마음으로 밤잠을 자지 못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이어 “노 대통령이 전작권의 실질적 내용에 대해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한미연합사령관은 비록 미국사람이지만 우리 대통령의 부하라고 생각해야 하고, 그(한미연합사령관)가 마음대로 전쟁을 할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역임한 정진태 부회장은 “우리는 지난 30여 년간 산업화와 정치발전, 이를 바탕으로 민주화를 이뤘다”며 “왜 그것을 창피한 역사로 매도해야 하고, 앞으로도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이뤄야 할 중차대한 과제가 많은데 우리를 도와준 동맹국을 매도해도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 대통령이 병사들의 복무에 대해 ‘군대에 가서 몇 년씩 썩히지 말고…’라고 언급한 데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정린(전 국방차관) 성우회 정책위의장은 “대통령의 깊은 뜻이 있겠지만 신성한 국방의 의무를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섭섭하게 느끼지 않았을까 우려된다”며 “군의 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청와대) 보좌관 등 그런 분들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국방연구원장을 지낸 송선용 사무총장도 "국민들로부터 오해를 살 수 있는 만큼 역대 국방장관과 각군 총장 등의 의견을 모아서 거기(발언)에 대한 해명을 하도록 준비할 것”이라며 사실상 청와대측의 해명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