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 5GW 풍력프로젝트 사업 탄력

풍력산업 테스트베드로 선정…내달 기반시설 착공<br>2014년까지 국비 등 162억원 투입 영광일대 구축

전남도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실증단지) 구축사업 중 풍력분야 최종 사업지로 선정돼 세계적 풍력 메카를 꿈꾸는 전남의 5GW 풍력프로젝트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전남도는 신ㆍ재생에너지 관련 국내 기업이 개발한 기술과 제품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지식경제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중 풍력시스템 분야 사업지로 최종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풍력산업 테스트베드는 국내 기업이 개발한 풍력발전기 시스템에 대한 성능 시험, 평가 및 인증을 받도록 지원하는 기반시설로 오는 6월 착공, 2014년까지 3년에 걸쳐 국비 등 162억원을 투입해 영광 백수읍 일대에 구축될 예정이다. 사업 주관기관은 전남테크노파크며 목포대, DNV코리아와 국내 풍력기기 제조업체 및 인증ㆍ연구기관이 참여한다. 사업 단지는 우선 대형 풍력발전기 18㎿, 소형 풍력발전기 2㎿ 등 20㎿를 사업기간 내에 구축하고, 2014년부터 2단계로 20㎿사업을 추진하는 등 연차적으로 100㎿ 규모의 발전단지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사업이 추진되는 영광 백수읍 하사리 지역은 풍력발전 여건이 뛰어나 풍력발전 단지 조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2008년부터 풍황을 조사, 이미 독일 풍력에너지연구소(DEWI)로부터 우수하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이번 테스트베드사업 부지로 선정됨으로써 입지의 우수성이 또다시 입증된 셈이다. 정부가 풍력산업을 '제2의 조선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이후 대기업이 앞다퉈 설비투자와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나 제품의 사업화를 위한 인증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국내 중공업 및 조선산업을 바탕으로 한 국내 풍력 기업들의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인증 및 성능평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국내에 성능평가 테스트베드가 부족해 해외에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남도에 풍력발전 시스템 테스트베드가 구축되면 현재 많은 비용을 들여 해외 인증을 추진해온 국내 풍력기기 제조업체들의 부담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의 신규 진출과 풍력발전시스템 개발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풍력시스템 테스트베드를 거점으로 전남지역에 풍력산업 기반이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전남도는 풍력 시스템 테스트베드 센터 구축과 관련해 시제품 및 완제품의 인증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서비스 외에도 국내 풍력발전시스템 제품 모델 개발 촉진을 위한 시제품 제작지원, 마케팅, 사업화 등 기업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임채영 전남도 녹색에너지담당관은 "풍력 테스트베드 사업이 완료되는 2015년부터 영광과 대불산업단지 등에 풍력발전기 제조업체, 구조물 설치업체, 유지보수업체 등이 가동돼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