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北광산개발 종합대책 세워야"

濠전문가 "에너지 체계 붕괴…기간시설 정비 필요"


남한이 합작을 시도하고 있는 북한 광산 개발에는 기간시설 정비를 포함한 종합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북한 에너지 전문가인 호주 왕립멜버른공과대학의 피터 헤이스 교수는 “북한의 에너지 체계가 붕괴된 상황에서 광산개발이 (북한) 단독으로 이뤄지기 어렵다”며 “북한 광산에 투자할 경우 관련 기간시설을 모두 정비하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헤이스 교수는 “북한 광산을 개발할 경우 전기를 끌어 쓸 수 있는 발전기를 비롯해 도로도 닦아야 한다”며 “이런 대규모 사업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벌여야 하는데 북한은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현재 북한의 에너지 사정은 지난 65년 남한과 비슷하고 석탄과 나무, 농작물 찌꺼기 등이 전체 에너지원의 3분의1을 차지할 정도로 열악하다”며 “북한은 에너지 체계가 완전히 무너졌기 때문에 석탄ㆍ석유ㆍ전기 분야 모두 처음부터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헤이스 교수는 그러나 외부에서 지원이 들어오지 않는 한 북한의 에너지난은 당장 해결될 수 없다며 “북핵 문제가 풀리지 않아 외부지원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소규모 시범사업과 함께 중간관리자를 교육, 대비하는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북한에서 석유가 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가 계속 흘러나오고는 있지만 아직 대규모 유전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며 “유전이 발견되더라도 실제 북한의 에너지난을 해소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엄청난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헤이스 교수는 지난 3월 발표한 논문 ‘북한 에너지’를 통해 2000년 현재 북한의총 에너지 수요 가운데 군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8%, 석유제품만 따지면 37%라고 추산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