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아그룹 대외채무 정부서 보증못한다”/강 부총리 밝혀

◎해외신인도 추락 불가피/“기아 협력업체에 추가 지원도 없다”강경식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24일 기아그룹의 대외채무중 금융기관이 보증한 것 이외에는 정부가 지급을 보증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이에따라 기아의 화의신청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 국내 대기업과 금융기관 등 한국물 전반에 대한 신인도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홍콩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총회에 참석하고 이날 하오 귀국한 강부총리는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달 25일 발표한 금융시장 안정대책에서 정부가 지급을 보증하겠다고 한 것은 금융기관의 대외채무지 기업의 대외채무가 아니다』라고 전제, 『기아의 대외채무는 금융기관이 보증한 것이 아니면 기아그룹의 책임』이라고 말했다.<관련기사 4면> 강부총리는 『기아그룹을 믿고 돈을 빌려준 외국투자가들은 자신들이 판단해서 그렇게 한 것이며 그런 것까지 정부가 감당할 수는 없다』고 분명히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외국 금융기관이 국내 대기업이나 현지 법인에 대해 한국경제의 역동성과 정부의 암묵적인 뒷받침을 전제로 자금을 지원해 온 점에 비춰 강부총리의 이날 발언은 한국물 전반에 대한 신인도 유지에 큰 주름을 안길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기아그룹이 발행한 중·장기 해외증권중 미상환 잔액이 2억2천8백만달러(약 2천50억원)에 달하며 국내 금융기관의 보증은 전무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앞서 강부총리는 이날 홍콩 IMF총회 연설직전에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아협력업체의 연쇄부도 우려에 대해 『협력업체에 대한 지원대책이 따로 있을 수 없다. 기아그룹이 무너지면 협력업체도 살아남을 수 없는 것 아니냐』며 『기아그룹이 추가 자금지원없이 살아남겠다고 화의신청을 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강부총리는 『정부는 기아사태에 대해 아무런 수단도 갖고 있지 않고 채권단이 알아서 처리할 일』이라는 종전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김선홍 회장의 사표제출 문제는 부도유예기간중 긴급 자금지원을 위한 전제조건이었기 때문에 이제 이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홍콩=이세정 특파원·임웅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