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동시분양 자체 파행 가능성도

■ 판교 분양승인 연기<br>차질땐 수도권 신규분양에도 혼선우려

동시분양 자체 파행 가능성도 ■ 판교 청약 대혼란차질땐 수도권 신규분양에도 혼선 우려 정두환 기자 dhchung@sed.co.kr 성남시의 분양가 인하 요구로 판교 신도시 동시분양 일정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적정 분양가’를 둘러싼 성남시와 업체간 이견이 너무 커 자칫 동시분양 자체가 파행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동시분양 차질은 판교 자체는 물론 판교 영향권에 놓인 수도권 전체 신규분양에도 파급효과를 낳는다”며 “시와 참여업체들이 가능한 한 빨리 합리적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왜 분양승인 거부했을까=이대엽 시장은 23일 기자회견에서 “업체들이 신청한 평당분양가가 1,230만원대에 육박한다”며 “무주택 성남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양가를 인하하라”고 분양승인 거부의 이유를 내세웠다. 하지만 지난 21일 건설교통부ㆍ성남시 및 6개 민간업체가 참석한 ‘분양가 산정 대책회의’에서 참여업체들은 이미 성남시가 당초 요구했던 평당 1,100만원 중ㆍ후반대로 분양가를 낮추기로 동의했으며 수정된 가격을 바탕으로 승인 신청서류를 보완, 22일 오후에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결국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제시되지 않았지만 시의 입장은 업체들의 분양가 인하 수준에 만족하지 못하고 평당분양가를 1,000만원대나 1,100만원대 초반으로까지 낮추라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 불만 속 고심=성남시는 현재 분양일정이 늦춰지더라도 분양가 인하만은 반드시 관철시키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하지만 이 같은 시의 요구를 업체들이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업계는 이미 건교부나 성남시가 당초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했던 ‘평당 1,100만원대’까지 가격을 맞춰준 만큼 더이상 가격을 내릴 여지는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몇 차례 회의를 통해 (분양원가를) 검증했음에도 이제 와서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은 이해가 안된다”며 “업체들의 원가에 문제가 있다면 명백하게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무작정 시간을 끌 수는 없다는 게 업계의 고민이다. 가뜩이나 ‘고분양가’에 대한 여론이 곱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미 확정해놓은 동시분양 일정이 분양승인 지연으로 늦어질 경우 업계 역시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도 부담이다. 한편 6개 민간분양 아파트 관계자들은 성남시의 분양승인 연기 발표 이후 긴급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마땅한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약자 혼란 우려=동시분양을 위한 분양승인이 지연될 경우 판교 신도시 전체 청약일정에도 혼선이 우려된다. 민간분양 아파트의 청약접수가 오는 4월3일이어서 이달 29일 오전까지만 승인이 나면 청약접수 일정은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이때까지 시와 업체가 원만한 합의를 도출해내지 못하면 청약일정 전체를 다시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물론 당첨자 발표가 5월4일로 한달 이상의 여유가 있긴 하지만 개별 청약자들이 청약일자를 다시 확인해야 하는 불편은 피할 수 없다. 만약 성남시가 최악의 경우 개별 업체별로 분양승인을 내주면 상황은 더욱 복잡해진다. 개별분양이 이뤄지면 동일 청약자가 여러 단지에 중복 청약할 수 있게 돼 청약경쟁률이 치솟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입력시간 : 2006/03/23 17:5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