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베이비부머 10명중 2명 "노후준비 꿈도 못꿨어요"

47~55세 서울시민 조사<br>고령자 일자리 창출 시급

서울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10명 중 2명 이상은 노후준비를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부분 은퇴를 앞둔 세대여서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는 28일 베이비붐 세대인 47~55세의 서울시민 8,99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노후대책과 가치관 등을 조사한 '서울서베이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를 발표했다. 서울의 베이비붐 세대는 144만6,059명으로 서울 전체 인구의 14.4%를 차지한다.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율(액수와 관련 없이 노후를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한 수치)은 78.3%로 집계됐다. 이는 15세 이상 시민 전체의 노후준비율(59.0%)보다 높지만 이들 세대가 올해부터 본격적인 은퇴기를 맞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높은 수치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들의 노후준비 수단(중복 응답)은 보험이 72.1%로 가장 많았고 은행저축(65.5%), 공적연금(57.2%), 개인연금(33.7%), 부동산 투자(16.8%)가 뒤를 이었다. 이들은 '노후의 주거 형태'를 묻는 질문에 62.6%가 '자녀와 함께 살거나 자녀와 가까운 곳에 살고 싶다'고 답해 65세 이상 노년층(72.5%)에 비해 자녀 의존도가 낮았다. 반면 '실버타운 등 노인전용공간'을 꼽은 응답자는 33.0%로 65세 이상의 24.8%보다 높았다. 고민이 있을 때 상담하는 상대는 남녀에 따라 다소 달랐다. 남성은 83.4%가 배우자와 상담한다고 답했으나 여성은 70.3%만 배우자를 꼽았다. '앞으로 교육을 받고 싶은 분야'로는 '컴퓨터'가 30.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취미ㆍ교양 등 여가선용 분야(30.1%)' '어학(15.0%)' '기술직업(11.0%)' 순이었다. 서울시는 이들 베이비붐 세대가 65세 이상 노인인구에 편입되는 오는 2020년부터 서울의 고령화가 가속화해 2030년에는 노인인구비율이 현재의 9.4%에서 22.3%로 상승하는 반면 생산가능인구비율은 76.2%에서 66.6%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