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충청권 인구유입 1년새 4배 급증

불황탓 전체 인구이동은 4년만에 최저<br> 충남 연기 전입초과규모는 작년의 23배

불황으로 인구이동마저 4년만의 최저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신행정수도가 들어설 충청권으로 유입된 인구는 1년새 4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4년 2.4분기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올 2.4분기중전국에서 충청권으로 이동한 인구는 5만7천808명으로 같은 기간 충청권을 떠난 4만9천736명을 제외한 순이동(전출-전입) 인구가 8천7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2.4분기의 1천972명의 4.09배에 달한다. 충청권으로의 유출이 가장 큰 시도는 경기도로 전체의 13.9%인 1천124명이었고다음으로 전북 1천27명(12.7%), 경북 959명(11.9%), 인천 890명(11.0%) 순이었다. 충청권 33개 시군구에서는 신행정수도 후보지로 거론됐던 지역을 중심으로 13개시군구가 전출보다 전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입초과 규모로는 충남 천안이 작년 2.4분기의 2천631명에 비해 3.04배로 늘어난 8천16명에 달해 작년에 이어 1위를 지켰고 신행정수도 예정지로 확정된 충남 연기가 작년 동기의 122명에 비해 23.3배로 늘어난 2천838명을 기록, 작년 9위에서 단숨에 2위로 뛰어올랐다. 다음으로 충남 아산(1천405명), 충남 논산(782명), 충북 음성(317명), 충남 서산(247명)이 뒤를 이었고 충남 공주시는 작년 293명 전출초과에서 올해 238명 전입초과로 돌아서며 7위에 올랐다. 이처럼 충청권으로의 인구이동이 늘어난 것은 현 정부의 신행정수도 이전사업과아산.탕정 첨단공단, 신도시 조성 등으로 지역발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수도권 등지의 외지인들이 대거 이동한데다 과거에 충청권을 떠났던 주민들이 다시 `U턴'하고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비해 수도권의 지난 2.4분기 순이동 규모는 2만5천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8.2%, 전분기보다는 63.4%나 감소해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이 다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 2.4분기 인구 총이동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4%, 전분기보다 16.9% 줄어든 2천44명에 그쳐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작년 동기보다 0.9% 낮은 4.2%에머물렀다. 이같은 총이동률은 지난 2000년 3.4분기의 4.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부동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내수경기 침체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총이동인구의 성비(여자이동자 100명당 남자 이동자수)는 100.1을 기록, 지난 97년 3.4분기(101.4%) 이후 처음으로 남자가 여자를 앞질렀다. 이는 남자의 인구이동 감소율이 15.8%에 그친데 비해 주로 서비스업종에 취업하는 여자의 인구이동이 내수침체의 직격탄을 맞아 남자보다 큰 폭인 17.0%의 감소율을 보인데 따른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