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장수 의원 대통령 특사로 중동行… 국방개혁안 8월 처리 수순?

대표적 반대론자 자리 비워<br>국방위 자유투표 표결 추진


김장수(사진) 한나라당 의원이 25일부터 오는 31일까지 대통령 중동 특사로 출국하는 것을 놓고 국방개혁안의 8월 임시국회 처리를 위한 수순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노무현 정부 당시 국방장관을 한 김 의원은 그동안 군의 입장에서 국방개혁안 처리를 반대해왔기 때문이다. 군령권(작전)과 군정권(인사·군수)이 통합돼 각군 참모총장이 합참의장의 지휘에 들어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국방개혁안에 대해 김 의원은 우리 군 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검증하지 않은 채 서둘러 통과시키려 한다며 8월 처리에 부정적이다. 국회 국방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도 반대가 높지만 직전 정부의 장관인 김 의원의 반대로 청와대에서도 난색을 표하고 있다. 여권은 고육지책으로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를 국방위로 옮기고 육군3성 장군 출신 한기호 의원을 정무위로 내보냈다. 당 대표가 주도하는 개혁안 처리에 당내 의원들이 반발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또한 당내에서는 군 출신 비례대표 의원으로 상징성을 지닌 김 의원 대신 한 의원을 전문성과 무관한 상임위로 내보냈다는 지적이 일었다. 이런 가운데 김 의원도 8월 임시국회 마지막 날까지 국내를 비우게 됨으로써 국방개혁안의 8월 처리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전망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일주일 전 갑자기 대통령 특사로 25일부터 31일까지 요르단과 레바논을 방문하라는 연락을 받았다"면서 "특사를 갑자기 통보하는 경우는 드문데 국방개혁안 반대와도 연관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내년에 수교 50주년을 맞는 요르단과 올해 수교 30주년을 맞는 레바논에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양국이 협력할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 의원이 출국한 이날 국회 국방위는 법안소위를 열어 국방개혁안 논의에 착수했다. 당 지도부는 법안소위에 처리 시한을 정한 후 처리하지 못하면 국방위 전체회의에 올려 자유투표로 표결을 추진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