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죽은 뒤 화장' 원하는 베이비부머 50% 에 달해

베이비부머 세대를 포함하는 준고령층(50∼64세)은 사후(死後)에 화장(火葬)을 하겠다는 응답이 절반에 육박한다. 매장에 대한 생각이 많이 허물어진 것.

50∼64세 준고령자는 지난 2004년 680만6,000명이었다가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가 주축이 되면서 가파르게 늘어나 지난해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올해는 1,050만7,000명 정도인 것으로 추산된다.


전체 인구 중 준고령자 구성비도 2004년 14.2%에서 지난해 20.2%로 늘었다. 올해는 20.8%다.

이들 준고령자 중 46.5%는 선호하는 장례 방법으로 ‘화장 후 자연장’을 꼽았다.

이는 매장(16.1%)보다 3배 가까이 많은 수치다.

65세 이상 고령자들은 화장 후 자연장을 28.2%, 매장을 34.8% 선호했다.


매장보다 화장을 선호하는 비율이 베이비부머 세대로 진행되면서 배 정도 늘어난 셈이다.

관련기사



베이비부머 세대는 결혼과 이혼에 대해서도 고령자들보다 개방적인 의식을 드러냈다.

준고령자들은 이혼을 해서는 안된다는 응답이 58.1%로 절반을 조금 넘는데 그쳤다. 같은 답변을 75.0% 내놓은 고령층과 대조를 이룬다.

결혼을 해야한다는 견해는 73.5%로 고령자의 83.9%보다 10%포인트 이상의 격차를 나타냈다.

이혼 후에는 재혼을 해야 한다는 의제에 대해서도 준고령자는 21.7%만 그렇다고 답변, 고령자의 27.0%보다 낮았다.

향후 기부 의사를 묻는 질문에 준고령자들은 47.4%가 그렇다고 답변, 고령자의 24.0%의 배에 달했다. 유산을 기부할 의사가 있다는 준고령자는 응답자의 31.4%로 고령자의 15.8%보다 배에 달했다.

문화·예술·스포츠를 관람한다는 준고령자는 응답자의 47.0%로 고령자의 18.1%보다 3배 가까이 많았다.

준고령자 26.1%는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 공영주차시설을 꼽을 만큼 주차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했고 늘려야 할 복지 서비스로는 46.4%가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지원을 꼽았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