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STX 계열인 STX흥국저축은행은 지난 9월 말 현재 거래자 수가 6,798명으로 1년 만에 2,772명이나 급감, 30% 가까이 떨어져 나갔다. 총자산도 1년 새 2,361억원에서 1,400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6.81%에 불과하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2.1%에 달한다. 손실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현대그룹 계열 현대저축은행도 모회사의 경영 악화로 불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그룹 차원에서 현대증권과 함께 매각 의사를 밝혔지만 저축은행은 잠재 부실이 많아 새 주인을 찾기가 녹록지 않다. 당장 현대저축은행은 2013회계연도(2013년 7월~2014년 6월) 1·4분기에만 44억원 적자다. 지난해(-332억원)에 비해서는 나아지고 있지만 매각이 지연될 경우 그룹 차원의 지원은 기대하기 힘들다.
게다가 현대저축은행은 2012년 9월 말 현재 BIS비율이 5.75%임에도 이를 8.23%로 과다산정했다가 최근 금감원에 적발됐고 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비율(LTV) 초과나 개별차주 한도를 넘어선 대출이 325억원이나 됐다.
기업어음(CP) 사기 발행으로 곤욕을 치른 웅진그룹 계열 서울저축은행은 이미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한 상태다. 웅진이 갖고 있던 또 다른 저축은행인 늘푸른은 호주계인 페퍼사로 넘어갔다. 앞서 건설사가 주력이던 프라임그룹이 소유하던 프라임저축은행도 그룹이 휘청이면서 영업정지를 피하지 못했다.
구조조정 기업 계열 중에서는 동부저축은행이 BIS비율 13.8%로 그나마 선전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저축은행은 자본금이 작고 시중은행보다 신용도가 낮은 기업과 개인을 거래하는 특성상 경기를 많이 탄다고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모그룹마저 경기에 민감하면 서로에게 악영향만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전직 금융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건설이나 조선 같은 경기 취약 업종을 가진 곳에는 저축은행을 맡기는 게 적절하지 않다"며 "캐피털사 등은 대기업 계열이라도 채권을 발행하기 때문에 문을 닫아도 기관투자가들이 책임을 지지만 수신 기능이 있는 저축은행은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