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만성적 적자경영 탈출 고육책

경영진 "전환배치 통한 인력유연성 확보를"<br>손익 정상화될때까지 복지혜택 중단도 요구<br>업계 "임금 협상에 파장 크다" 촉각 곤두


기아차가 올해 노조 측에 고통분담을 요구한 것은 만성적인 적자경영에서 더 이상 노조 측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번 사태 추이에 따라 노사관계가 극한 대립에서 벗어나 상생과 화합의 새로운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회사의 한 관계자는 “회사가 장기적자에 허덕이면서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운 지경에 빠졌다”며 “우선 회사부터 살리기 위해서는 노조도 고통분담에 동참해야 한다는 뜻에서 이번 요구안을 제시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연례적인 임금 인상과 파업이라는 고질병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노사 모두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는 얘기다. 실제 기아차 경영진은 올해 임금협상에서 노조의 기본급 8.9% 인상 및 생계비 부족분 통상임금 200% 지급 요구안에 대해 경영상황을 들어 난색을 표해왔다. 실제 기아자동차는 지난해 2ㆍ4분기 적자를 기록한 이후 올해 1ㆍ4분기까지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특히 지난 6월에는 노조의 한미 FTA 반대 파업으로 생산일수가 줄면서 지난해 6월보다 수출은 1.8%, 내수는 8.3%나 줄었다. 기아차 경영진이 제시한 요구안의 주된 내용은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특히 전환배치를 통한 인력운영의 유연성 확보는 경영진이 처음으로 요구했다. 사측은 요구안에서 시화ㆍ화성의 생산라인 이관 후 장기간 대기 중인 인원 등에 대한 조속한 전환배치를 주장했다. 또한 신차 투입 또는 라인 재편성시 편성효율을 기존 대비 5% 이상씩 단계적으로 개선해 가동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인력을 배치할 수 없고 글로벌 경쟁기업에 비해 가동률이 턱없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경영정상화가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특히 전환배치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장기근속자 해외 여행, 병원비 지원금 등 각종 복지혜택을 회사 손익이 정상화할 때까지 중단하자는 요구에서는 경영진의 위기감이 그대로 배어난다. 경영진은 ‘회사 손익 정상화’의 기준을 연간 기준으로 보고 있어 최소한 1년 이상의 고통분담을 노조 측에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고비용 저효율의 복지비용을 대폭 줄여 낭비적 비용을 제거하는 데 노조가 동참해 줄 것을 호소한 것이다. 기아차의 한 관계자는 “우선 노사가 협력해 파이를 키워야 함께 공유할 과실도 커지지 않겠느냐”며 “노조도 이런 점을 이해하고 있을 거라 믿고 있으며 사측은 향후 노조의 대응에 따라 임금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기아차 경영진의 고통분담 요구가 향후 각 사의 임금협상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상황전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노조 측이 회사의 요구안 전체를 받아들이기는 힘들겠지만 일부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지 않겠느냐”며 “먼저 기업이 살아야 노조도 살 수 있다는 것을 다른 자동차 업체의 선례를 통해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