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차이나 리포트] 돈줄 막히고 인건비·원자재값 폭등… 中 중소기업들 '사면초가'

위안화 절상 겹쳐 죽을맛<br>"공장 돌릴수록 적자"<br>가동 중단·사업 포기 속출<br>동남아등 공장 이전도 추진


중국 민간 경제의 주춧돌인 중소기업이 줄도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중국 당국의 통화긴축 정책으로 은행 등 제도 금융권의 자금줄이 말라 버린데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인건비와 원자재 비용 부담 가중 등으로 경영환경이 크게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민간 경제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70%, 세수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핵심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80%에 달한다. 그 중에서도 개혁ㆍ개방 이후 지난 30여년 동안 중국의 고도 성장을 이끌어 온 주역은 저임금을 기반으로 의류, 신발 등의 가공 수출을 해온 민간 중소기업들이었다. 하지만 중국 수출에서 내수로 경제성장 모델 전환을 추진하고 중국이 고임금 시대로 진입한 데다 글로벌 수요 감소로 수출 환경이 악화되면서 중국의 중소기업계는 사면초가에 처해 있다. 신발공장이 밀집해 있는 중국 저장성 원저우시 솽위(雙屿)진에 위치한 신발공장 캉예(康業) 관계자는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 등의 여파로 이익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토로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요도 급감해 "지난해 7만5,000켤레 수준이던 하루 신발 생산량이 올해 들어서는 5만5,000켤레로 줄었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나마 캉예처럼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면 다행인 편이다. 이 지역 신발 공장의 80%는 채산성이 맞지 않아 아예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신발 제조에 사용되는 가죽 가격은 1m당 5~10위안씩 20~30% 올랐고, 중국 당국의 잇따른 최저임금 인상 조치 등으로 인건비도 이미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치솟았다. 원저우의 경우 올 들어 상반기까지 인건비는 평균 30% 인상한 것으로 집계됐다. 결국 공장을 가동할 수록 손해가 나는 적자 구조에 빠지자 대다수 공장들이 아예 가동을 포기해 버린 것이다. 이처럼 갈수록 경영환경이 악화하자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방글라데시,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의 공장 이전을 추진하는 중소기업들도 속출하고 있다. 난징시에서 의류 가공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왕(王)모씨는 인건비 상승, 지속되는 위안화 절상 때문에 국내 사업을 접기로 결심하고 동남아시아로 공장을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중국의 웬만한 지역의 근로자 최저임금이 월 1,000위안을 웃도는 반면 방글레라데시에서는 최저임금이 180위안에 불과하다. 여기에 중국 당국의 통화긴축 정책으로 은행이 신규 대출은 물론 기존 대출까지 회수하고 나서면서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자금난에 직면해 있다. 중소기업은 국영기업 등 대기업과 달리 은행에서 신규 대출을 받기가 '하늘의 별 따기'인데다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 압박까지 받게 되자 돈줄이 말라버린 상태다. 게다가 은행들은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아야 하는 중소기업 대출을 축소하기 위해 시중의 고리 대금업체인 이른바 담보회사에 대출 자산을 넘기는 방식의 편법을 공공연히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A 중소기업이 10%대의 연 금리로 은행 대출을 쓰고 있는 경우, 대출 만기가 도래해 은행이 A 기업에 상환을 요구했는데 당장 기업측이 대출금을 갚지 못할 경우 해당 은행은 초단기의 고리 대금업체인 담보회사로 대출자산을 넘겨 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A기업은 연 30~50%의 이자를 울며 겨자먹기로 지불해야 한다. 은행은 대출자산을 담보회사에 넘겨주는 대가로 해당 담보회사의 이자 수익분을 균등하게 나눠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은행들은 기존 대출 자산뿐 아니라 신규 대출도 담보회사를 끼고 대출을 해줌으로써 짭짤한 고수익을 챙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중소기업을 둘러싼 경영여건이 악화되자 최근 경제관찰보 등 중국 현지 언론에서는 수출기업이 밀집해 있는 광둥성, 저장성 등의 중소기업이 대량 도산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 같은 우려를 반영, 최근 원자바오 총리는 공산당 기관 잡지인 치우슈(求是) 기고를 통해 "물가 안정을 위해 현재의 (통화긴축) 정책을 지속해 나가겠다"면서도 "중소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