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제일은행 매각] 지분율과 손실분담 최종변수

서울.제일은행 매각과 관련, 외국금융기관과 우리정부의 지분율과 손실분담 비율 문제가 최종 변수로 남았다.외국 금융기관들이 요구한 소액주주 지분 전량 소각은 정부가 받아들여 유상소각하기로 결정했다. 두 은행의 올 연말기준 순자산가치(총자산-총부채)가 마이너스 상태이지만 시장가격(주가)은 3천원대인 점을 고려, 매입가격은 1천∼2천원선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관계당국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는 영국계 HSBC(홍콩은행) 등 외국 금융기관들과 매각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외국 금융기관은 정부측에 80% 이상의 지분을 넘길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향후 은행 경영이 정상화될 경우 수익분담 비율과 직접적인 관계가 깊은것으로 외국 금융기관들은 향후 경영상태가 매우 호전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정부지분을 최대한 많이 넘길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최대 51%의 지분만을 넘기고 나머지 지분은 향후 경영정상화로주가가 오를 경우 비싼 가격에 팔아 정부출자분 1조5천억원을 최대한 회수한다는 입장이다. 다른 쟁점은 손실분담 비율로 두 은행의 정상여신이 향후 부실채권으로 악화될경우 우리 정부가 얼마나 손실을 분담하는 것인가에 있다. 정부는 일단 8(정부) 대 2(인수금융기관)의 비율을 제시하고 있으나 외국 금융기관들은 매입후 1∼2년은 1백%에 가까운 손실분담을 우리측에 요구하고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 당초 1년내에 부실채권이 될 경우 60%, 2년내 70%, 3년내 80%의 비율로 우리측이 손실분담하다는 정부측 방안은 유보됐다. 한편 논란이 되고 있는 소액주주 지분 유상소각은 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이 최근 “두 은행의 자산가치를 고려할때 시장가격 이하 소각이 불가피하다”고 밝힘에따라 매입가격이 크게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이와관련 “두 은행의 순자가산가치가 연말기준으로 마이너스 상태여서 원칙적으로는 무상소각하는 것이 맞다”며 “그러나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고려, 주주들과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두 은행 주가는 한때 8천∼9천원까지 올라갔으나 최근에는 3천원대로 급락했으며 계속 내려가는 추세여서 주당 매입가격은 예상보다 훨씬 낮은 1천∼2천원 선에서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