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저축銀 버티기에 부실정리 차질?

업계, 매각 손실로 BIS비율 하락등 우려 "다 못판다" 반발<br>공자위, 부실PF 3조4000억 중 1조9000억만 매입키로<br>부실채권 할인율등 감안땐 공적자금 1조 가량 투입될 듯


저축은행들이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듯하다. 저축은행 부실을 조기에 털어내려는 금융당국의 시도가 저축은행의 버티기 앞에 먹혀들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부실을 선제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공적자금까지 투입해 사들일 계획을 세웠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은 3조4,000억원에 달했지만 손실이 커질 것을 우려한 저축은행의 반발을 무마하지 못해 절반을 조금 넘는 1조 9,000억원가량만 매입하게 됐다. ★본지 22일자 2면 참조 금융위원회는 24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어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채권 1조9,000억원(대출원금 기준)어치를 자산관리공사(캠코)가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매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저축은행 PF채권 매입에 투입될 공적자금은 매입 부실 채권의 할인율을 감안할 때 1조원가량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이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9일까지 89개 저축은행의 468개 PF 사업장을 조사한 결과 부실 및 부실우려 채권은 3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당초 금융위는 부실과 부실우려 PF 사업장은 모두 대출채권을 매각하도록 유도할 예정이었지만 저축은행들이 "계속 사업을 진행하겠다"며 버틴 것이다. 저축은행들이 PF 매각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것은 부실 채권 매각시 손실을 바로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PF를 팔면 부실채권 비율이 낮아지는 효과는 있지만 대부분 매각손을 입기 때문에 손익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사후정산을 대비해 채권원금과 매각가의 차이(충당금 적립분 제외)만큼 5년에 걸쳐 충당금을 쌓아야 해 부담이 생긴다. 6월 말 결산과 뒤이은 금감원의 경영진단을 앞두고 저축은행이 손익과 재무구조에 악영향을 줄 것을 우려한 것이다. 경기가 조금 나아지면 PF 사업을 재추진해 정상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저축은행들이 PF 매각을 주저하게 만드는 이유다. 지금까지 자산관리공사는 채권 원금의 50~60% 가격에 부실채권을 사들였다. 이번 PF매각도 자산관리공사의 매입금액 등 일부 조건이 과거와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실 PF를 지금 팔면 당장 손실을 인식해야 하고 그에 따른 부담이 크다"며 "금융당국의 퇴출 심사를 앞두고 적자를 키울 수는 없다"고 말했다. 감독당국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저축은행이 팔지 않겠다는 것까지 억지로 강제할 수는 없었다" 며 "저축은행의 자구 노력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부실채권을 매입하려 했는데 기대치를 채우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