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기업 파업' 발언 반응

이수영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비정규직 법안등 노사현안과 관련, "정치권이 노동계 편향으로 가면 기업도 스트라이크(파업)를 할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렸다. 비정규직 관련 입법을 주도하고 있는 열린우리당은 `국민에 대한 협박'이라며발끈했고, 한나라당은 `기업의 고충을 이해한다'는 상반된 입장을 보인 것. 국회 환노위 법안심사소위원장인 우리당 우원식(禹元植) 의원은 10일 성명을 내고 "기업은 돈만 벌 수 있다면 동포들의 삶은 어떠해도 괜찮다는 것이냐"면서 "세상이 자신들 중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을 접으라"고 비판했다. 우 의원은 또 "비정규직의 고통과 절규에 대한 경영계의 인식 전환이 이뤄지지않는 한 우리 사회의 동반성장은 요원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정규직 법안 통과시 총파업을 예고한 노동계에 대해서도 "걸핏하면 공장을 해외로 옮기겠다는 경영계 주장처럼, 국민에 대한 일종의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단 수석부대표도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참여정부가그동안 비정규직 법안을 포함해 노동계에 편향된 일이 있었는지 돌이켜보라"고 주문한 뒤 "(이 회장의 발언은) 가진 자의 오만이 극치에 달한 협박"이라고 비난했다. 반면 한나라당 김재원(金在原) 기획위원장은 "우리나라의 개인적 노동권은 전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강력하게 보장돼 있다"면서"기업 입장에선 정부 정책이반(反)기업적으로 가다 보니까 그런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며 기업 입장을 옹호했다. 민주당 유종필(柳鍾珌) 대변인은 "기업은 경제원리에 따라 기업하기 좋은 곳을찾아 가게 돼 있다"면서도 "그렇지만 국가와 민족에 봉사해야 할 기업이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보따리 싸서 밖으로 나가겠다는 것은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논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