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연놀이엔 묵은해 보내고 새해 맞는 의미 담겨"

'연의 달인' 이재송씨

"연날리기는 겨울철 건강도 지키고 남녀노소 함께할 수 있는 최고의 놀이입니다." 마을 주민 사이에서 '연의 달인'으로 불리는 이재송(64ㆍ사진)씨가 전남 해남군 계곡면 사정리에서 신묘년 새해 희망을 가득 담은 연을 하늘 높이 올리면서 "예전에는 어른ㆍ아이 할 것 없이 설 무렵이면 연날리기를 하느라 온 마을이 들썩들썩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특별한 의미를 담은 놀이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씨가 선보이는 연은 각양각색이다. 15㎝ 크기의 손바닥만 한 방패연부터 텐트를 뜯어 만든 2m가 넘는 가오리연까지 평소 구경하기 어려운 진귀한 연도 많다. 특히 200개의 연을 한 줄에 연결해 띄우는 줄 연은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용을 연상시킬 정도로 웅장한 장관을 연출한다. 이 모든 연은 이씨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 수십년 연 만들기 비법이 숨어 있다. 그가 밝히는 가장 중요한 비결은 대나무의 탄성. 시누대를 쓰는 일반적인 방법보다 늙은 왕대를 얇게 깎아 연 살을 만드는데 방패연은 똑같은 탄성의 대나무를 좌우대칭으로 균형 있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무게를 가볍게 하려고 연 살을 살짝 굽기도 하고 목공 접착제를 이용해 붙이는 등 여러 가지 방법도 사용된다. 이씨의 연 만드는 솜씨는 주변 이웃에게까지 알려져 멀리서부터 연 만들기를 배우러 오기도 하고 함께 연을 날리는 동호인들도 제법 생겼다. 지역 축제인 명량대첩제와 같은 지역행사에서는 연날리기 시범으로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요즘처럼 농한기에는 거의 날마다 마을 앞에서 연을 날리는 것이 중요한 일과다. 자신의 연 날리는 모습을 보고 관심을 둔 사람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는 6일 "올겨울에는 우리 고유의 전통놀이인 연날리기의 매력에 빠져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