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한상의, “차이나플레이션 4~5년 유지 예상…대응 시급”

지난달 중국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37개월 만에 최고치(6.5%)를 기록한 가운데 중국의 인플레이션을 일컫는 ‘차이나플레이션’ 현상이 앞으로 4~5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발표한 ‘차이나플레이션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과 시사점’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가 경제 불균형 완화를 위해 임금 배증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차이나플레이션이 향후 2015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저임금을 토대로 세계 공장역할을 해 왔지만 1998년(15.5%) 이후 임금상승률이 13년째 10% 이상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근로자 평균임금을 매년 15%씩 인상해 2015년에는 2010년의 배까지 높이려고 하고 있다. 이에따라 중국사회는 임금 및 물가 상승의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차이나플레이션의 시대가 이어져 4~5년 후부터 본격적인 고임금시대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의는 차이나플레이션의 지속이 우리 경제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먼저 세계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하는 부문에서 우리나라의 수출 호전이 기대된다. 저가의 중국산에 밀려 고전한 가전, 가구 등 조립산업과 의복, 신발 등의 노동집약적 산업분야가 철강, 비철금속, 화학산업 등 소재산업분야보다 상대적으로 혜택이 클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그러나 우리의 최대교역국인 중국 경제의 긴축은 당장 대중(對中) 수출의 감소로 나타나고, 중국 제품의 가격상승은 국내 인플레이션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경제의 고임금 시대에 대비하려면 수출전진기지 위주의 대중 투자전략을 중국 내수시장 교두보 중심으로 재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대한상의는 강조했다. 중국 진출 내용 면에서도 제조업보다는 서비스 분야의 투자를 추천했다. 유망 서비스산업 분야로는 우리가 강점이 있는 ‘美(성형, 미용), 樂(엔터테인먼트), 通(유통)’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중국이 올해 연구개발에 우리보다 3.4배 많은 1,537억달러(세계2위)를 투자할 것으로 보이는 등 수년째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현재의 기술격차를 지키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며 “신성장 동력 분야에서의 선택과 집중, R&D 시스템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