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정부·기업 외환리스크 공동 대응방안 찾기로

외환동향 점검회의

정부가 민간 기업들과 외환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찾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22일 김익주 국제금융국장 주재로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금융연구원, 국제금융센터와 국내은행, 외국은행 지점, 삼성전자 등 수출기업 외환담당자가 참석한 가운데 오찬을 함께 하면서 외환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정부와 민간주체들이 외환 리스크 요인에 대해 점검했고 기업들은 환율변동성이 커질 경우 영업이 힘든 만큼 적절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올 초부터 시행했던 선물환 거래 제한 조치 등에 대한 정책과 시행 경과 등을 평가했다. 또 ▦은행의 외화자산 및 부채의 잔존 만기 구분 ▦외화유동성 비율 ▦외화차입금의 만기도래 현황 ▦외화자금 조달 및 운용 현황 등도 점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재정부 의 한 관계자는 "선물환 거래 제한의 경우 환변동성이 심할 때를 대비한 조치"라며 "시행초기인 만큼 좀더 지켜볼 것이고 금감원 등이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외환정책기관 등을 통해 정책에 대한 민간부문의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을 듣고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행 대표로 참석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ㆍJP모건 등은 이번 회의에서 금융위와 금감원에 외환건전성 감독 방안 시행과 관련한 은행들의 입장과 개선방안을, 삼성전자 등 수출기업들은 선물환 거래 제한과 관련한 업계와 은행 간 업무 진행 상황이나 애로점을 전달했다. 한편 외환동향점검회의는 지난해 9월 발족해 한차례 회의를 열고 이번에 두번째로 열렸다. 재정부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외환정책기관과 민간 부문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관계기관 협의체를 정례화하겠다고 밝혔다. 외환동향점검회의는 통상 분기에 한번 정도 열 예정이고 상황에 따라 수시로 열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