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방 中企 근로자 불만 1위는 자녀교육”

대한상의 조사…생활편의시설 및 직업훈련 기회 부족도 불만

지방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자녀 교육여건’을 꼽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도시 중소기업 근로자 4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방생활의 가장 불편한 점으로 ‘자녀 교육여건’(29.8%)을 가장 많이 꼽았다고 25일 밝혔다.

이어 ‘쇼핑ㆍ문화ㆍ의료시설 등 생활편의시설 부족’(21.9%), ‘직업훈련 기회부족’(17.2%), ‘주거마련비용 부담’(15.7%), ‘출퇴근 불편’(14.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자녀 교육여건이 불만인 이유로는 ‘자녀의 대도시 유학비 부담’(40.8%)을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으로 ‘초중고 교육여건 미흡’(34.2%), ‘사교육 학원시설 부족’(14.2%), ‘보육시설 부족’(10.8%) 등을 차례로 꼽았다.

관련기사



지방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대도시 직장생활과 비교했을 때 ‘대도시가 나을 것’(55.0%)이라는 응답이 더 많았다. 대도시보다 일자리와 급여가 적다고 생각하는 지방근로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상의는 풀이했다.

실제로 대도시와 비교한 지방일자리 현황을 묻는 질문에 ‘대도시보다 일자리가 적다’는 응답이 80.6%였고, ‘직장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응답도 63.6%나 됐다. 급여에 있어서도 ‘대도시보다 급여가 적다’는 응답이 84.4%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 직장생활이 대도시에 비해 나은 점으로는 대다수 응답자가 ‘주거여건이 더 낫다’(81.2%)고 답했고, ‘저렴한 생활비’와 ‘잦은 가족ㆍ친지간 교류기회’를 꼽은 응답도 각각 79.7%와 64.1%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지방 중소기업 근로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선 지역단위의 중소기업 근로자 자조 조직과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지방 중소기업 근로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은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중소기업 기피현상을 완화시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에서 취업자의 87%를 차지하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삶을 안정시키기 위한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