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쟁기간·테러재발여부가 美경제 회생 갈림길

■ 공습이후 美경제 향방장기화땐 내년 중반까지 침체 불가피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보복 공격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정국 주도권을 강화시킴으로써 공화당과 민주당의 견해차이로 지연되고 있는 750억달러의 경기부양책과 600억달러의 내년도 감세안에 대한 조속한 해결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9ㆍ11 테러 대참사로 심각한 좌절감을 겪었던 뉴욕 월가의 금융인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미국민의 애국심을 자극시켜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는 긍정적 측면이 기대된다. 그러나 추가 보복 테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 국경에 대한 검문 검색이 강화되고 주요 도시와 시설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면서 경제활동과 소비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문제는 전쟁이 단기전으로 끝나느냐, 장기화하느냐에 달려 있다. 군사전문가들은 이번 전쟁이 걸프전처럼 며칠 만에 마무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한다. 하지만 오는 11월 말 추수감사절이 되기 전 탈레반 정부를 축출하고 오사마 빈 라덴의 테러 세력을 소탕할 경우 미국민의 소비심리가 급격히 살아나 경제 회복의 원동력을 마련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그렇지 않고 베트남전처럼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미국 경제는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 단기전의 경우 경제회복에 유리 전쟁 개시와 함께 연방정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경제 회생 대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가니스탄 공습 후 민주당 지도부는 일제히 공격을 지지했으며 당분간 부시 대통령의 사실상 비상대권을 인정할 것으로 보여 행정부가 제안한 경기부양책과 감세안이 의회를 통과할 정치적 여건이 조성됐다. 또 FRB가 오는 11월6일 또 한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뉴욕 월가의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이미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금리를 기준으로 할 때 단기금리는 마이너스로 떨어졌고 저금리 기조는 소비 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자동차 업계는 9ㆍ11 테러 대참사 이후 저금리를 활용, 무이자 할부금융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참사 후 극도의 긴장된 분위기에도 불구, 9월 자동차 및 경트럭 판매대수는 1,300만대로 8월에 비해 1.5% 하락에 그쳤다. 도널드 에반스 상무장관이 제너럴 모터스(GM)ㆍ포드 등 자동차 회사의 경영진을 만나 가급적 해고를 줄이고 판매촉진책을 사용할 것을 부탁한 것도 소비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 추가 테러와 장기전 우려 연방정부와 FBR의 인위적인 경기부양책도 추가 테러가 발생하거나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경기침체를 저지하는 데 역부족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추가 테러에 대한 우려로 공습 당일 에미상(TV 부문 아카데미상) 시상식과 진행 중이던 경기가 취소되고 뉴욕시의 다리와 터널 등 주요지점에 대한 경계 강화 조치가 취해지는 등 당분간 경제활동이 상당히 위축될 전망이다. 9월 테러 대참사로 항공산업을 비롯, 많은 기업들이 대량 해고를 단행했기 때문에 추가 테러 위협은 항공ㆍ호텔ㆍ레저ㆍ요식업 등 서비스 산업의 불황을 장기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이 경우 제조업에서 발생한 불황이 서비스산업으로 확산되고 미국의 경기침체가 내년 중반까지 이어질 것으로 우려한다. 91년 걸프전 때 다국적군이 단기간에 이라크를 제압한 후 다우존스 지수가 20% 뛰었지만 베트남전이 20년간 지속되는 동안 다우 지수는 오래 내리막길을 걸었다. 경제전문 채널인 CNBC의 한 앵커는 "공습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쟁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 것인지가 뉴욕 증시와 경제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욕=김인영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