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들 "구체적 액션플랜 어쩌나" 고심

[새 국정화두 공생발전] ■ 재계 움직임 <BR>현대家 5000억 재단 발표 후 '버금가는 대책' 마련 나설듯 <BR>기존 사회공헌활동 강화속 특단 대책 공개도 배제못해

재계가 이명박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시한 '공생발전'에 대한 후속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대기업들은 '공생발전'이 기존 대ㆍ중기 상생, 동반성장 등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될 것으로 보고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어떻게 짜야 할지를 놓고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이날 범현대가에서 5,000억원 규모의 나눔재단 설립을 발표하자 이에 버금가는 대책이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단 4대 그룹 등 주요 대기업들은 이번 공생발전 선언을 계기로 이미 추진하고 있는 동반성장펀드 운영, 협력사에 대한 기술 및 교육 지원,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삼성의 경우 지금까지 해오던 동반성장 활동 및 계획을 수정하기보다는 꾸준히 유지하며 발전시켜나갈 방침이다. 삼성은 그러나 최근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사업을 담당하던 아이마켓코리아 매각을 전격 발표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포함해 새로운 종합대책을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다. 현대차그룹 역시 협력사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공정하고 투명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협력사와 동반 해외진출 등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같은 동반성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LG그룹은 LG연암문화재단ㆍLG복지재단ㆍLG상록재단 등 5개의 공익재단을 필두로 사회공헌활동에 나서는 한편 그룹 및 각 계열사들도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 어린이 도서관 설립 등의 사회공헌활동을 체계적으로 이어가기로 했다. SKㆍ한화ㆍ롯데그룹 등도 그동안 지속적으로 해온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가동하는 하는 동시에 사회공헌활동 등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 KT&G가 이날 중장기 계획상 사회공헌 투자 비율이 매출액의 2%지만 이를 3%까지 확대하기로 밝히는 등 기업들 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책들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재계 한편에서는 동반성장에 이어 공생발전이 새 화두로 제시된 데 대해 큰 부담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정부의 동반성장 압력으로 상당한 재원을 투입해 동반성장 프로그램들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게 쉽지 않아서다. 재계 관계자는 "상생ㆍ동반성장에 이어 공생발전 등 계속해 정부에서 뭔가를 내놓고 있는데 이제 더 이상 새롭지도 않다"면서 "이미 각 기업별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것조차 부족하다는 것이냐"고 곤혹스러워했다. 이와 함께 기업들은 앞서 MRO 사업이 '일감 몰아주기'로 인식되며 대기업을 옥죈 데 이어 새롭게 제시된 '공생발전'이 또 다른 '대기업 때리기'를 정당화하는 수단이 되지는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MRO 이후 다음 타깃은 캐피털이라는 등 소문들이 계속 나오면서 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면서 "진정한 공생을 원한다면 '대기업 때리기'식 정책은 지양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