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을이 좋다, 필드가 부른다] 백스윙 때 엉덩이 틀어주면 '파워 업'

■ 아마추어가 시도해볼 만한 장타 비결<br>어깨 회전 뒤엔 양손 멈추고 '샤프트 지면과 평행' 집착 자제<br>티는 낮게 꽂아야 타격 유리


샤프트와 지면의 평행에 집착하다 보면 위쪽 사진처럼 양손이 스윙면의 너무 위로 올라가게 돼 결국 밖에서 안 쪽으로 잘라 치게 된다. 이는 슬라이스나 왼쪽으로 곧장 날아가는 풀 샷의 원인이 되다. 어깨 회전이 끝나면 더 이상 손을 이동시키지 말고 잠시 동작을 멈췄다가 스윙면을 따라 몸 바깥 쪽으로 다운스윙을 한다.

20야드 증대를 약속하는 교습가들의 레슨대로라면 지금 모두가 최소 250야드는 날려야 정상이다. 하지만 느는 건 샷 거리가 아니라 그린까지 남은 거리요, 한숨뿐이다.

시키는 대로 하는데도 거리가 늘지 않는 이유가 뭘까. 아마추어가 프로 선수들의 수준에 맞춰진 스윙 이론에 따르고 있다는 것도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 스윙 이론은 최정상급 프로 선수들의 공통점에서 도출하는 경향이 있다. 유연성이나 근력에서 그들과 같지 않은 아마추어들은 혼란이 커질 수도 있다.


기존 이론을 따라도 샷 거리가 쉽사리 늘지 않는 골퍼들이 시도해볼 만한 거리 증대 방법을 소개한다. 최근 서울경제 골프매거진이 소개한 '쉬운 레슨'이다.

◇엉덩이를 틀어줘라=백스윙 때 에너지를 축적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이론은 엉덩이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다. 어깨와 엉덩이(골반) 사이의 각도를 더 크게 해줘 최대한의 꼬임을 만들기 위함이다.


그러나 유연성이 떨어지는 아마추어들은 이 동작 자체를 취하는 게 어렵다. 엉덩이를 잡아놓고 어깨를 회전시켰더라도 슬라이스가 발생하기 쉽다. 다운스윙 때 엉덩이가 너무 빨리 열리면서 손과 클럽헤드가 쫓아오지 못해 페이스를 제때 직각으로 되돌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반면 백스윙 때 엉덩이를 어깨와 함께 틀어주면 무엇보다 어깨 회전을 크게 하기가 쉽다. 이는 바로 파워의 원천이다. 어깨와 엉덩이 간 각도 차이를 내는 것도 방법이지만 그게 어렵다면 엉덩이를 자연스럽게 돌려줘 어깨 회전 자체를 키우라는 의미다.

◇'샤프트 평행'에 집착하지 마라=프로골퍼들의 스윙을 보면 백스윙 톱 단계 때 샤프트가 지면과 평행을 이룬다.

일반 골퍼들은 백스윙을 평행 상태까지 가져가려 할 필요가 없다. 통상 아마추어는 프로에 비해 어깨 회전이 7~10도 작기 때문에 어깨 회전이 멈춘 뒤 샤프트를 평행으로 맞추려고 양손을 계속 움직이는 것은 역효과를 부른다.

다운스윙 전환 때는 양손을 스윙면 상에 다시 올려놓아야 하는데 양손을 너무 높이 들면 이 때 손목을 일찍 풀 수밖에 없어 파워가 빠져 나간다. 유연성이 떨어지는 아마추어에게는 어깨만 최대한 회전시킨 뒤 양손이 스윙면 위에 놓여 있으면서 샤프트가 평행에 미치지 못한 상태가 이상적인 톱 자세다.

◇티를 좀더 낮게 꽂아라= 460cc 대형 헤드가 나온 뒤 티를 높게 꽂는 선수들이 생겼다. 페이스 중앙보다 약간 위쪽에 볼을 맞히면 백스핀 양이 줄어들어 더 멀리 날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은 볼이 지면에서 멀리 있을수록 중심 타격이 어렵다. 지면이 기준선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헤드스피드가 느린 골퍼는 스위트스폿에 맞히지 못하면 볼의 속도가 뚝 떨어지고 방향도 더 크게 빗나간다. 볼의 절반 이상이 페이스의 중앙 높이에 놓이도록 티를 낮게 꽂아야 한다. 이 상태에서 헤드가 지면을 스치듯 스윙해주면 훨씬 쉽게 볼을 스위트스폿에 맞힐 수 있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