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빚 갚으려 고리 빚 낸다"

대부업체 이용고객의 절반 이상은 카드 연체대금 등 기존의 빚을 갚기 위해 대부업체로부터 고리의 자금을 빌려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2개월간 대부업체 이용자 1,6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6%는 카드 연체정리 등 기존채무 상환을 위해 대부업체로부터 자금을 빌려 썼다고 응답했다. 반면 생활자금이나 사업자금 마련용도는 전체의 38%에 불과해 상당수 대부업 이용자들이 `빚을 갚기 위해 빚을 내는` 악순환에 빠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존 채무 변제를 위해 대부업체를 찾는다는 비중은 여성(62%)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여성의 경우 20대(69%) 비중이 유난히 컸다. 또 전체의 47%는 카드연체의 원인으로 `실직 등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고, `불건전한 소비`라고 답한 응답자도 전체의 39%로 많았다. 또한 응답자 중 현재 신용불량자인 경우는 31%에 불과했지만 향후 부채상환 가능성에 대해서는 채무 재조정되면 갚겠다(23%), 도저히 갚을 수 없다(17%) 등 전체의 40%가 자력에 의한 부채 상환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을 해, 상당수가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경기침체와 실업사태 등의 영향으로 20~30대 고학력자들의 대부업체 이용이 눈에 띄게 늘었다.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39%는 30대였으며 남성은 30대(47%)가, 여성은 20대(54%)가 대부업체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회사원(46%) 자영업자(23%)가 주류를 이뤘고, 주부(9%) 무직(7%) 등 소득이 없는 고객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학력은 고졸이상이 92%에 달했으며, 대졸 이상도 전년도에 비해 16%포인트나 늘었다. 대부업체 고객들의 1인당 대부 이용액은 790만원으로 전체의 79%가 1,000만원 이하의 소액자금이었다. 대출금의 연평균 금리는 118%로 법정 금리상한선(66%)를 뛰어넘었지만 대부업법 시행 전인 지난 2002년의 171%에 비해서는 크게 떨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악화에 따른 고학력 청년 실업 급증, 신용카드 한도 축소 등으로 인해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현상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변형섭기자 hispeed@hk.co.kr>

관련기사



변형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