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전력요금 석탄가격에 연동

물가상승 압박고조 우려

물가상승을 우려해 전기요금 인상을 제한해왔던 중국 정부가 금년말부터 전기요금을 석탄가격에 연동시키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에 따라 중국의 물가상승 압박이 더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은 8일 중국 정부가 석탄가격이 5% 변동할 때마다 가격변동폭의 70%까지 전기요금에 반영하도록 하고, 농업부문에 대해서는 전기요금 인상을 제외시켜주는 등의 다양한 방안을 놓고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이 같은 조치를 추진하게 된 것은 석탄은 전력생산 비용의 70%를 차지하는 원자재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지만 전력회사들은 이를 전기요금에 반영하지 못해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전력회사들의 경영난을 해소해주면서 물가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편으로 이번 조치를 내놓게 됐다. 현재 중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연 5%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물가상승을 최소화하면서 대부분 국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력회사들의 수익개선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중국 정부의 의도대로 물가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기요금이 오르면 중국 전력생산량의 75%를 소비하는 산업계가 비용상승에 따른 부담을 우선 짊어지게 되지만, 이는 곧 소비자가격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크레디스위스퍼스트보스턴의 동타오 중국지역 수석분석가는 “이번 조치로 산업계는 물론 소매업체들까지 모든 부문에서의 상품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