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對北경협 국제요구 맞게 조정"

■ 한·미 외교장관 회담<br>"핵무기 이전·2차 핵실험땐 엄중한 결과" 경고

노무현 대통령이 19일 북한 핵문제를 논의하기위해 청와대를 방문한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최종욱기자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19일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보다 엄중한 결과가 뒤따를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또 북한이 핵무기나 핵물질을 제3자나 3국에 이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과 관련해 반 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와 국제사회의 요구에 조화되고 부합되도록 필요한 조정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고 라이스 장관은 “무엇(개성공단, 금강산 사업 중단 등)을 하라고 요구하러 온 것이 아니다. 그런 문제들은 한국이 알아서 결정할 것”이라고 응답, 양대 사업에 대한 양국간 해법이 ‘수정 진행’으로 귀결됐음을 내비쳤다. 라이스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회담을 한 뒤 반 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이전을 방지해야 하고 금융돈줄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은 무조건 6자 회담에 복귀해야 하고 6자 회담을 통해 우리가 도출한 공동성명 내용대로 이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반 장관은 이에 대해 “북한의 2차 핵실험이 결코 있어서는 안 되며 그런 일이 있으면 보다 엄중한 결과가 뒤따를 것임에 대해 인식을 같이했다”고 경고했다.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과 관련, 라이스 장관은 "현재의 긴장을 확산·심화시키는 것을 원치 않는다" 고 말했 다. 그는 "PSI에대한 오해가 있다" 고 전제한뒤 "(PSI가시행된) 지난 2년여동안 각 나라에서 보유한 권한을 사용해 위험한 무기나 무기 관련 물질을 검색하는 데 국제법과 정보에 의거한 검색이 이뤄져왔다" 면서 "효과적으로 검색이 잘 이뤄져왔고 무력충돌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현안인 개성공단 사업과 금강산 관광 등 대북경협 사업과 관련해 반 장관은 "안보리 결의와 국제사회의 요구에 조화되고 부합되도록 필요하다면 조정을 검토하겠다" 고 설명했고 라이스 장관은 남북경협 중단을 요구했는지 여부에 대해 "무엇을 요구하러것이 아니다" 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