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건설주 파동∙깡통계좌’ 등 투기가 부른 아픈 기억

한국증시는 지난 반세기 동안 눈부신 성장을 해오는 과정에서 수 많은 변곡점을 거쳐야 했다. 우리 증시에 가장 먼저 찾아 온 시련은 1958년 새해 벽두에 터진 ‘1∙16 국채파동’. 당시 증권업자들은 정부의 추가 국채발행 여부를 놓고 치열한 매매 공방을 펼쳤다. 하지만 채권이 급등세를 나타내자 매수측의 추가 증거금 납부와 월말결제를 위한 자금조달이 어려워졌다. 따라서 정부가 시장을 긴급 폐장하고 매매 일체를 무효화시켰다. 이 사건으로 증권거래소 전 임원이 경질되고 증권사 4곳이 등록 취소됐다.


이어 1962년 5월에는 증권파동이 증시를 덮쳤다. 증권파동은 증권사들이 과도한 투기에 나서면서주가가 폭등, 막대한 규모의 거래가 성립됐으나 증권사의 자금 부족으로 월말 결제가 불가능하게 되면서 증시가 마비된 사건이다. 결국, 주가 폭락으로 투자자들이 자살하는 등 사회 혼란이 거듭됐다. 증시는 이듬해인 1963년에도 73일간이나 열리지 못하는 등 모두 5차례나 휴장을 해야만 했다.

관련기사



1970년대에는 중동 건설붐을 타고 1977년부터 2년여 동안 건설주가 급등했다가 폭락하는 '건설주 파동'이 발생한다. 당시 일부 건설주들의 경우 500원짜리가 한달 이상 상한가를 지속해 3만원대까지 치솟았다가 급락세로 돌변, 액면가 이하로 추락하기도 했다.

1990년대 들어 ‘3저(低) 호황’이 끝나면서 증시가 하락세로 접어들면서 이른바 '깡통계좌 정리' 사건이 터졌다. 정부가 증시부양책으로 주식만 있으면 현금 없이도 주식을 살 수 있는 대책을 내놓자 투자자들이 저마다 외상으로 주식을 매집했다가 증시가 하락세를 멈추지 않아 1990년 10월 9일에 증권사들이 일괄적으로 반대매매에 나선 사건이다. 결국 투자자들은 빚을 내 무리하게 투자에 나설 경우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교훈을 얻어야만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