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가계빚 눈덩이 경제발목 우려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 경제에 가계부채가 복병으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빚더미에 앉은 가계들이 지갑을 열지 않으면 실업 문제로 위축된 소비회복 속도가 한층 더뎌질 공산이 크기 때문. `초저금리`가 가계부채 부담을 상당부분 상쇄시켜 주고 있어 아직 큰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지만 이 같은 상황이 경제 회복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 가계부채 사상 최고=지난해 12월말 현재 미 가계부채 규모는 9조 달러를 돌파,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 가구 당 약 9만 달러의 부채를 떠안고 있는 셈. 이로 인해 1996년 이후 매년 100만명을 웃돌고 있는 개인파산도 지난해에는 사상 최고치인 154만명에 달했다. 이 같은 가계부채 문제는 미 경제의 3분의 2를 지탱하는 소비의 위축을 가져와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소득의 20% 가량을 빚 갚는 데 쓰고 있어 소비 여력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것. 실제 미 경제가 지난 3분기와 4분기 각각 8.2%, 4%의 성장을 한 반면, 같은 기간 개인소비 증가율은 0~0.5% 미만에 머물러 본격적인 소비 회복세는 눈에 띄지 않고 있다. 특히 모기지를 뺀 가계부채의 40% 가량이 신용카드 빚이란 점에서 소비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앞으로 더욱 커질 공산이 큰 상태다. ◇그린스펀 해명 불구 금리인상 경우 타격 불가피=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저금리`와 `집값 상승`이 가계부채 부담을 상당부분 덜어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3일 미 신용연합전국협회(CUNA)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미 가계수지가 모기지 리파이낸싱과 저금리 덕분에 양호한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지난 10년간 가계부채율이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소득 가운데 각종 금융비용을 통합한 총 금융채무비율은 지난 2001년 이래 거의 변화가 없어 가계부채 증가가 가계 재정 압박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금리가 오를 경우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모기지의 경우 75% 이상이 확정금리를 적용, 금리 상승에 따른 위험 부담이 없다지만 전체 부채의 40%를 넘는 4조 달러 가량은 금리 변동의 영향권 내에 있어 금리 상승시 적잖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 또 최근엔 주택담보대출 시에도 변동금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늘고 있어 금리상승에 따른 피해는 생각보다 커질 수 있다는 게 이들의 견해다. 웰스파고 증권의 손성원 수석 애널리스트는 “경제가 갑자기 후퇴하거나 금리가 치솟으면 대규모 부채가 시한폭탄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창익기자 window@sed.co.kr>

관련기사



김창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