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재정부 “日 대지진ㆍ방사능 오염에 물류 등 위축”

기획재정부는 7일 “일본 대지진 및 방사능 오염으로 물류 및 여가활동이 위축돼 서비스업 생산이 다소 부진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재정부는 이 날 발간한 최근경제동향(그린북)에서 3월 생산전망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재정부는 또 “일본 대지진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부품조달 애로 등으로 일시적 생산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일본 사태가 우리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시사했다. 재정부는 이 같은 전망을 바탕으로 “우리 경제가 물가안정 속에 경기·고용 회복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대외여건 변화를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부가 거시정책의 유연성을 거론한 것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당초 계획한 5% 내외 경제성장, 3% 수준 물가 전망치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낳는다. 이는 2월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모두 전월보다 감소세로 돌아선데다 3월에도 이런 흐름이 일정 부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일맥상통한다. 특히 석유·원자재 가격의 급등이라는 대외적 요인에다 국내적으로는 구제역·이상한파 등 악재까지 겹치면서 물가가 3달 연속 4%대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것도 경제정책 운용의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민간소비에 대해서도 “3월 소매판매가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지만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하고 있어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2009년 5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치인 100을 하회한 98을 기록했다. 재정부는 고유가의 영향에 따라 3월 중 휘발유 판매량이 전월 대비로 1.9% 감소했다고 집계했다. 휘발유 판매량이 전월 대비로 감소한 것은 작년 12월(-0.5%) 이후 3개월 만이다.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불안요인이 확대되고 있다”며 “중동·북아프리카 정정불안에 따른 유가상승, 일본 대지진, 유럽 재정위기 재부각 등으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