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지 선정 논란

시, 민간사업자와 MOU 미공개 체결<br>의회 "특정 후보지에 특혜 주기" 반발

대구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지 선정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시는 노후화·악취 등으로 동물원 기능을 상실하고 있는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 동물원을 지난 2000년 수성구 삼덕동 구름골로 이전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민간투자 유치 실패로 좀처럼 진척을 보지 못했다. 지난 1970년에 조성된 달성공원 동물원에는 포유류 26종 137마리, 조류 54종 438마리 등 모두 1,515마리의 동물이 있다.


이후 대구시가 올 들어 동물원 이전 재추진을 위해 대구경북연구원에 '동물원 이전 입지선정 및 타당성 연구용역 조사'를 발주하면서 기초지자체간 유치전이 본격화됐다.

동물원 유치전에 나선 곳은 수성구와 달성군.


수성구의회는 지난 1월 달성공원 동물원을 수성구로 이전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이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 주민 서명운동 등 유치활동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앞서 달성군에서도 지난해 8월 하빈면 주민 등 33명으로 구성한 '달성공원 동물원 하빈이전 유치추진위원회'이 구성, 유치활동을 펴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구시가 동물원 건립과 관련해 민간사업자와 투자 양해각서(MOU)를 미공개로 체결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이전 부지를 이미 결정해 놓은 것 아니냐'는 등의 논란이 일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해 11월 T사와 P사 등 민간사업자 4곳과 공동으로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과 신규 동물원 건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동희 대구시의원(수성구)은 "민간투자자들이 입지조차 선정되지 않은 사업에 투자를 약속한다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일"이라며 "특정 후보지에 특혜를 주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MOU를 비공개로 한 것은 과도한 유치경쟁과 지가 상승 등의 부작용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MOU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며 이전 대상지 선정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민간사업자를 다시 공모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