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차명진 의원, 최저생계비 체험 후기 '논란'

SetSectionName(); 차명진 의원, 최저생계비 체험 후기 '논란'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reporter@hankooki.com 사진=차명진 의원 홈페이지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이 최저 생계비 체험에 참여한 뒤 쓴 후기로 인해 구설에 올랐다. 차 의원은 지난 23일, 24일 이틀간 참여연대에서 실시하는 '최저 생계비로 한달나기 릴레이 체험'을 마친 뒤 26일 자신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후기를 전했다. 참여연대가 마련한 쪽방촌에서 1박2일동안 숙식을 해결한 차의원은 생활비로 1인 가구 최저생계비에 해당하는 총 6,300원(1끼당 식비 2,100원씩 세끼)으로 하루를 지냈다. 차 의원은 "800원어치 쌀 한 컵과 970원짜리 쌀국수 한 봉지, 970원짜리 미트볼 한 봉지, 970원짜리 참치캔 1개 등을 구입해 3,710원을 사용했다"며 "이 정도면 세끼 식사용으로 충분하다. 점심과 저녁은 밥에다 미트볼과 참치캔을 얹어서 먹었고 아침식사는 쌀국수로 가뿐하게 때웠다"고 밝혔다. 이어 "황도 970원짜리 한 캔을 사서 밤에 책 읽으면서 음미했고 물은 숙소에 도착하자마자 수돗물을 한 양재기 받아서 끓여 놓았다"며 "이 정도면 황제의 식사가 부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왜 단돈 6,300원으로 황제와 같은 생활을 할 수 있었을까. 밥 먹으라고 준 돈으로 사회기부도 하고 문화생활까지 즐겼을까"라고 자문하며 "물가에 대한 좋은 정보와 마음껏 돌아다닐 수 있는 건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차 의원은 "최저생계비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분들이 저처럼 될 수 있을까. 단 하루 체험으로 섣부른 결론 내리는 것은 옳지 않겠지만 최저생계비만 올리는 것으론 답이 안 나올 것 같다. 국가재정에도 한계가 있고"라며 글을 맺었다. 이 글을 접한 네티즌들은 차 의원의 홈페이지를 통해 "하루가 아니라 매일 그렇게 생활하는 사람을 두고도 '황제'라고 표현할 수 있느냐" "6,300원으로 1년 살아보고 수기를 올려달라" 등의 의견을 올리며 경솔함을 지적했다. 한편 오전 10시 현재 차 의원의 홈페이지는 네티즌들의 항의방문이 폭주, 서비스가 원활하지 못하다. 한편 '최저 생계비로 한달 나기 릴레이 체험'은 최저생계비만으로 실제 쪽방촌에서 하루나 이틀을 살아보며 최저생계비를 현실화하는 길을 모색해보자는 취지로 기획된 캠페인이다. 다음은 차명진 의원이 올린 '6,300원짜리 황제의 삶' 전문. # 후기 1 최저생계비로 하루나기 체험에 다녀왔습니다. 식사비 6,300원을 받고 쪽방에서 1박2일을 살아보는 겁니다. 저보다 앞서서 몇 분이 다녀갔지만 한나라당 의원은 제가 처음이었습니다. 선배 경험자의 가계부를 조사했습니다. 한 컵에 800원 하는 쌀 두 컵에 1,600원, 김치 한 보시기 2,000원, 참치 캔 한 개 2,000원, 생수 한 병에 500원, 이렇게 해서 모두 6,100원이 들었답니다. 받은 돈 전부를 착실히 먹거리에 썼군요. 쌀은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걸 샀고 부식은 근처 구멍가게에서 샀답니다. 전 다르게 접근했습니다. 제가 굶어죽을까 염려한 집사람이 인터넷에서 조사한 자료를 참조했습니다. 쌀은 800원어치 한 컵만 샀습니다. 그리고 마트에서 세일하는 쌀국수 1봉지 970원, 미트볼 한 봉지 970원, 참치캔 1개 970원에 샀습니다. 전부 합해 3,710원. 이정도면 세끼 식사용으로 충분합니다. 점심과 저녁은 밥에다 미트볼과 참치캔을 얹어서 먹었고 아침식사는 쌀국수로 가뿐하게 때웠지요. 아참! 황도 970원짜리 한 캔을 사서 밤에 책 읽으면서 음미했습니다. 물은 숙소에 도착하자마자 수돗물을 한 양재기 받아서 끓여 놓았지요. 이 정도면 황제의 식사가 부럽지 않지요. 나머지 돈으로 뭐 했냐구요? 반납하지 않고 정말 의미있게 썼습니다. # 후기 2 먹거리로 쓴 돈 4,680원을 빼니까 1,620원이 남더군요. 그중에서 1,000원은 사회에 기부했습니다. 체험 내용 중에 쪽방촌 사람들 도우는 일이 있는데 제가 만난 사람은 1급 시각장애자였습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으나 1평짜리 골방에 박혀 매일 술로 지새웠습니다. 그 분을 부축하고 동사무소에 도움을 신청하러 가는데 인사불성에 속이 불편한 지 계속 꺼억댔습니다. 약방에 가서 제 돈 1,000원을 내고 속 푸는 약을 사드렸습니다. 집에 돌아가서는 걸레를 물에 빨아 방 청소를 해드렸는데 이불을 들자 바퀴벌레 수십 마리가 혼비백산 달아나더군요. 바퀴벌레 알도 쓸어내고 청소를 마친 다음에 젖은 수건으로 온몸을 닦아 드렸습니다. 기분 좋은 지 살짝 웃더군요. 하루밤을 잘 자고 난 다음날 아침 주변을 산책했습니다. 돌아오면서 조간신문 1부를 600원에 샀습니다. 문화생활을 한 셈이죠. 마지막으로 남은 돈은 20원이었습니다. 나는 왜 단돈 6,300원으로 황제와 같은 생활을 할 수 있었을까? 밥 먹으라고 준 돈으로 사회기부도 하고 문화생활까지 즐겼을까? 물가에 대한 좋은 정보와 마음껏 돌아다닐 수 있는 건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최저생계비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분들이 저처럼 될 수 있을까요? 단 하루 체험으로 섣부른 결론 내리는 것은 옳지 않겠지요. 다만 최저생계비만 올리는 것으론 답이 안 나올 것 같습니다. 국가재정에도 한계가 있고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