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드보카트號 "전열 재정비하라"

산대전력 정밀분석… 초반부터 중원장악 필요<br>실전감각 유지하면서 컨디션·체력회복도 시급

아드보카트號 "전열 재정비하라" 산대전력 정밀분석… 초반부터 중원장악 필요실전감각 유지하면서 컨디션·체력회복도 시급 박민영 기자 mypark@sed.co.kr ‘전열을 재정비하라.’ 아드보카트호가 19일 오전(이하 한국시간)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강호 프랑스와의 2006독일월드컵 G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값진 1대1 무승부를 거뒀다. 경기 초반부터 중원 지배권을 내준 뒤 선제골마저 빼앗겼지만 후반 36분 설기현의 크로스와 조재진의 헤딩패스에 이은 박지성의 기적 같은 동점골이 터지면서 월드컵 2회 연속 16강 진출의 청신호를 밝혔다. 그러나 외견상 1승1무의 목표치 달성에도 불구, 2경기 모두 내용면에서는 적지 않은 문제점을 노출했다. 특히 프랑스전의 경우 경기 중반 이후까지 무기력한 모습으로 고전했고 상대의 체력이 급격이 떨어지지 않았더라면 참패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였다. 이에 따라 오는 24일 스위스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을 앞두고 아드보카트호의 전열을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는 부분은 초반 계속되는 미드필드에서의 무기력증. 경기 주도권을 잡는 중대한 요소인 중원 압박에서 늦게 시동이 걸리면서 전반전은 힘 한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끌려갔다. 프랑스전에서 포백라인의 4-3-3 포메이션으로 경기에 나선 한국은 지네딘 지단 등 기술 좋고 경험이 풍부한 상대 미드필더진에 중원 지배권을 빼앗기며 처음부터 수세에 몰렸다. 프랑스의 강한 압박과 티에리 앙리를 원톱으로 한 세찬 공격에 한국은 전반 9분만에 뼈아픈 실점을 했다. 실뱅 윌토르가 아크 정면에서 때린 슛이 김남일의 발에 맞고 골지역 앞으로 흐르자 문전에 자리잡고 있던 앙리가 왼발로 차넣어 골네트를 갈랐다. 중원을 장악 당한 한국은 최전방 원톱 조재진이 고립됐고 전반 38분 이천수의 프리킥으로 단 한번의 슈팅을 시도하면서 프랑스의 3차례 유효슈팅(1골 포함) 등 7개 슈팅에 시달렸다. 체력 회복도 시급한 과제다. 태극전사들은 1, 2차전에서 극적인 역전과 무승부를 이뤄내는 과정에서 피 말리는 싸움을 했기 때문에 체력적인 소모가 매우 심했다. 오버페이스로 인해 스위스와의 최종전에서 컨디션이 갑자기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6강 진출을 목표로 삼고 컨디션의 사이클을 맞춰온 선수들은 정신력으로 고비를 넘기고 있지만 체력의 고갈이 예상보다 빨리 도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스위스전까지 남은 시간을 전열 재정비 시기로 활용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상대의 전력을 세밀히 분석해 중원 장악권을 잡는 데 주력하는 한편 실전감각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수들의 피로를 적절히 풀어주고 체력을 충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입력시간 : 2006/06/19 17:21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