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휴대전화업종 바닥 탈출 가능할까

국내 휴대전화 업종에 대해 바닥 탈출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휴대전화업체들의 실적이 2.4분기를 기점으로 바닥을 찍고 3.4분기부터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 2.4분기 실적은 기대 이하 = 지난 6월 국내 휴대전화 시장은 월드컵 특수와번호이동 가입자 증가 등으로 모처럼 호조를 보였다. 수출은 4개월만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고 내수는 이례적으로 지난해1월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업체별로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출하량이 전월대비 9.3%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인반면 LG전자는 4.4% 감소했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6월 판매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와 LG전자 모두 휴대전화 부문이 1.4분기에 이어 2.4분기에도 전체 실적 부진의 주범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투자증권 노근창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2.4분기 휴대전화 부문 실적은 부진했던 것으로 파악된다"며 "삼성전자는 4,5월 실적 악화로 8%대의 영업이익률을, LG전자는 -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하나증권 김장원 애널리스트도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휴대전화 부문은 4월을 저점으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며삼성전자의 영업이익률은 8~9%대, LG전자는 마이너스를 지속할 것으로 추정했다. ◇ 3.4분기부터 점차 개선 = 그러나 3.4분기부터는 국내 휴대전화업체들이 상반기의 부진에서 벗어나 점차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계절적으로 수요가 확대되는 시기인 데다 주력모델의 출하량 증가와 신모델 출시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나증권 김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는 3.4분기에도 6월의 회복세가 지속될 수있을 것"이라며 "제품생산 포트폴리오 변경이 수익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이어 "LG전자도 초콜릿폰의 출하가 늘고 있어 개선의 여지가크다"며 "단 주력시장의 변화, 브랜드 인지도 확대 및 신모델 출시 등 전략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돼 개선폭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한화증권 김지산 애널리스트도 "하반기에는 계절적 효과로 월별 출하량 증가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국내업체들의 경쟁력이 글로벌 업체에 비해 위축돼 있어 시장성장률을 상회하는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3G폰, TV폰 등 고성능폰 비중 확대와 모토로라 후속 모델의 파급력 약화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증권 노 애널리스트 역시 "아직 휴대전화 산업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것은 아니지만 바닥에서 점진적으로 탈출하고 있는 국면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1시40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시장 전반적인 약세 속에 각각 1.49%, 2.73% 하락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