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기업 지배구조 신용등급에 악영향"

S&P 마이클 프티 신용평가담당 상무 지적

세계적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기업의 지배구조가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19일 밝혔다. S&P의 마이클 프티 북아시아 지역 기업 및 공익사업 신용평가 담당 상무는 이날 오전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기업의 신용도에도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기업의 주요 쟁점은 가족 중심의 소유구조와 비핵심 그룹사에 대한 경영진의 지원의지 등”이라며 “이에 따라 채무자의 이해관계보다는 가족의 이해관계를 중시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지배구조와 경영관행은 기업의 신용도 평가의 주요 요인”이라며 “특정 기업지배구조 성향을 통해 신용도 하락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향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조기경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프티 상무는 또 기업지배구조와 신용도 관계에 대한 실례로 SK와 금강고려화학ㆍ현대차 등을 소개했다. 그는 “S&P가 지난해 5월 SK에 대해 SK네트웍스에 대한 지원과 그룹의 조직구조가 여전히 복잡하다는 점 등으로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며 “금강고려화학도 옛 현대그룹 인수를 시도한 후 경영진의 리스크 허용수치가 예전보다 크게 높아졌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현대차도 INI철강과 현대모비스ㆍ기아차 등 복잡한 소유구조, 핵심사업과 관련이 없는 자회사에 대한 지원의지, 주주와 채권자의 이해관계보다 가족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것 등이 영업리스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