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갈등 해소로 가는 길


최근 우리 사회는 각종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대한민국이 사회적 갈등으로 치르는 연간 사회적 비용은 300조원 규모로 국내총생산(GDP)의 27%에 이른다. 좋든 싫든 갈등은 더 이상 우리 사회가 무작정 외면하거나 억지로 꿰맬 수 없는, 일상적 사회현상이 되고 있다. 일상에서 다사다난한 일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반복되는 것처럼 갈등 역시 크든 작든 파생되고 반복된다. 사회적 갈등은 수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단번에 해소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갈등 해결에 있어 획기적인 해법을 바라기보다는 반복ㆍ지속되는 갈등을 이해하고 열린 자세로 보듬는 노력이 중요한 이유다. 작고 번거로운 소통 노력 중요 세계적인 갈등 중재자 더들리 위크스는 이러한 '작고 번거로운'소통의 노력과 절차가 갈등 해결을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갈등이 지속될수록 개방과 참여의 원칙 아래 소통의 거버넌스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다.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이슈도 다르지 않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은 부지 선정 문제로 지난 1986년 이래 안면도ㆍ굴업도ㆍ영광ㆍ울진ㆍ부안 등을 거치며 20여년을 표류하다 2005년 중저준위 처분시설만 따로 떼낸 뒤 경주에서 89.5%라는 경이적인 찬성률로 지역 주민의 동의를 얻어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은 적이 있다. 부지 선정 6년이 지난 지금도 크고 작은 갈등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방폐장 공기 연장에 따른 안전성 논란에서부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본사 부지 입지, 특별지원금 사용 같은 지역적 이슈가 지속되고 있다. 물론 이 중에는 안전성과 같은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방폐공단)과 직접 관련된 이슈도 있고 특별지원금 용처나 한수원 부지 입지 등 공단이 직접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영역의 일도 있다. 우리 공단은 그러나 이러한 개방과 참여의 과정을 최선의 협력방향을 모색하는 소통의 일환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갈등의 국면마다 자발적 본사 경주 조기 이전, 지역 주민의 현장 검증조사 지원, 지역 사회 공헌 등을 통해 지역 사회와 거리 좁히기에 노력해왔다. 최근에는 방폐장 건설현장을 개방해 시민들이 직접 정책집행 현장에 참여하고 안전성 문제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며 소통을 강화해왔다. 재미슨(JAMIESON)과 토마스(THOMAS)는 자신의 관심사와 타인의 관심사 중 어떤 쪽이 충족됐는지에 따라 갈등해결 모형을 경쟁ㆍ회피ㆍ협력ㆍ타협ㆍ동조 다섯 가지의 모델로 분류한다. 내가 이기는 경쟁, 그냥 내버려두는 회피, 나와 상대방의 관심이 모두 충족되는 협력, 상호 희생하는 타협, 내가 양보하는 동조 이렇게 다섯 가지 방식이다. 안전과 지역 발전에 관해서는 방폐공단과 국민적 관심사가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갈등은 항상 협력이 될 것이다. 합의 통한 상호발전 추구해야 우리 공단이 공기 지연으로 안전성 논란이 제기됐을 때 지질학회뿐 아니라 지역 공동체가 선임한 조사단의 안전성 검증을 수용한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다. 지역 주민에 대한 20% 채용 목표제 시행도 협력의 좋은 사례다.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지역 주민의 관심과 직원들의 보다 높은 책임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지역 주민과 공단의 관심사가 모두 만족되는 협력의 선상에 있다. 공단은 앞으로도 지역 협력과 안전성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다. 이렇게 보면 갈등은 부정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결국 서로가 건강한 관계를 만들기 위한, 서로의 발전을 위한 합의를 이뤄가는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앞으로도 크고 작은 갈등들이 돌출할 수 있겠지만 해법은 결국 마라톤과도 같은 사회통합의 여정이 아닌가 한다. 더 나은 대한민국을 위해 '화합을 위한 작은 실천'이 우선할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