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간 암보험 가입자, 의료 이용량 훨씬 많다"

국민건강보험 환자보다 입원횟수ㆍ기간ㆍ진료비 모두 많아<br>암보험 가입자 의료이용ㆍ의료비 지출 실태 추적조사 결과 <br>민간의보 확대시 공보험 재정에 부정적 영향 초래 가능성

"민간 암보험 가입자, 의료 이용량 훨씬 많다" 국민건강보험 환자보다 입원횟수ㆍ기간ㆍ진료비 모두 많아암보험 가입자 의료이용ㆍ의료비 지출 실태 추적조사 결과 민간의보 확대시 공보험 재정에 부정적 영향 초래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안은미 기자 관련기사 • 허와 실 • 실태와 문제점 • 바람직한 방향 민간의료보험 활성화를 놓고 보건의료계와 경제계 사이에 찬반공방이 뜨거운 가운데 보험사가 취급하는 암보험 가입자의 의료 이용량이 미가입자에 비해 훨씬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면밀한 검토없이 민간의료보험을 확대할 경우 도리어 의료이용의 증가로 인해 공보험인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지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돼 주목된다. 성균관대의대 사회의학교실과 삼성의료경영연구소의 강성욱.권영대.유창훈 연구팀은 29일 우리나라 민간의료보험의 대표적 형태인 암보험이 암환자의 의료이용과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연구논문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논문은 서울 시내 한 종합병원에 2003년 입원한 위암, 간암, 폐암 등 3개 암환자 4천173명이 입원 전후인 2002년, 2004년을 포함한 최대 3년 간의 의료이용(입원진료.외래진료) 양태와 의료비를 추적,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됐다. 전체 연구대상 암환자 중에서 민간의료보험 가입 암환자(민간보험군)는 1천186명, 비민간의료보험(국민건강보험) 환자(비민간보험군)는 2천987명이었다. 평균 나이는 민간보험군이 52.4세로 비민간보험군의 60.6세보다 약 8년 정도 젊었다. 암별 구성을 보면 위암 1천599명, 간암 1천625명, 폐암 949명 등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환자 당 입원횟수의 경우 민간보험군이 2.97회로 비민간보험군(2.3회)보다 많았다. 환자 당 입원기간도 민간보험군이 21일로 비민간보험군의 17.1일에 비해 4일 정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자 당 총 입원진료비를 살펴보면, 민간보험군이 약 1천100만원으로 비민간보험군(약 900만원)보다 200만원 정도 많았다. 외래진료의 경우에도 입원진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환자 당 외래방문 건수는 민간보험군이 12.9회로, 비민간보험군의 10.1회보다약 3회 더 많았다. 환자 당 총 외래진료비는 외래방문 빈도가 높은 민간보험군이 약220만원으로 비민간보험군의 약 180만원보다 40만원 가량 많았다. 연구팀은 "암보험에 가입한 민간보험군이 비민간보험군 보다 입원진료와 외래진료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진료비도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민간보험 가입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미가입자에 비해 소득이 높은 데다 보험가입으로 재정적 부담이 완화되면서 의료이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입력시간 : 2006/03/30 06:2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