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화장실 손잡이보다 더러운 슈퍼마켓 카트 손잡이

공공시설물 중 가장 오염 '세균 투성이'

공공시설물 중 슈퍼마켓의 카트 손잡이가 일반세균에 가장 많이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하철 손잡이나 PC방의 마우스 손잡는 부분에서는 상처가 난 피부를통해 감염되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13일 한국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소보원이 최근 서울시내와 근교에서 사람의 손이 주로 접촉하는 공공시설물 120곳의 세균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조사대상 공공시설물은 지하철 손잡이 20곳, 버스 손잡이 20곳, 화장실 손잡이 20곳, 엘리베이터 버튼 20곳, 카트 손잡이 20곳, PC방 마우스 손 닿는 부분 20곳 등이었다. 조사결과 각각의 공공시설물에서 채취한 120개 샘플 중 95%에 해당하는 114개샘플에서 일반세균이 10㎠당 7∼1만7천CFU가 검출됐다. 채취 장소별 일반세균 검출결과를 보면 카트 손잡이에서 평균 1천100CFU로 가장많은 일반세균이 검출됐고, PC방 마우스가 690CFU, 버스손잡이는 380CFU, 화장실 손잡이는 340CFU, 엘리베이터 버튼은 130CFU, 지하철손잡이는 86CFU 등의 순이었다. 일반세균의 수치가 높을수록 해당장소는 미생물에 많이 오염된 것이며, 병원성미생물이 존재할 가능성도 그만큼 높다. 또 시험대상 중 5.8%에 해당하는 지하철과 화장실 손잡이, 엘리베이터 버튼, PC방 마우스 손잡는 부분 등 7개 샘플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10㎠당 3∼47CFU 검출됐다고 소보원은 밝혔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상처가 난 피부를 통해 감염되면 각종 질병이 발병할 수 있으며 식품 등으로 옮겨 2차 오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소보원 관계자는 "세균으로 오염된 공공시설물을 이용하다 보면 손으로 균이 오염돼 감염성 질병에 걸릴 수 있다"면서 "비누로 손을 자주 씻어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이들 감염성 질병의 70%는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