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소모적 기초공천 논쟁 끝내고 인물경쟁 하라

6·4지방선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았음에도 여야 정치권이 기초공천을 둘러싼 소모적 논쟁으로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 청와대는 7일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제안했던 박근혜 대통령과의 회동제안에 대해 거부 입장을 공식 통보했다. 야당 대표가 청와대를 직접 찾아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하고 답변시한을 정한 것에 대한 예우 차원인 듯하다. 정무수석까지 보내 형식을 차렸음에도 지방선거와 관련해 정치적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래도 야당은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는 "선거규칙이 2개일 수 없다"면서 4월 국회에서 기초공천폐지 법안을 관철시키겠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야당쪽의 기초공천 집착은 애초부터 초점을 제대로 잡지 못한 실책이다. 지방선거는 지방행정을 책임질 선출직 공무원과 예산과 조례 등 입법을 담당하는 지역일꾼을 뽑는 것이 본령이다. 누가 지역살림을 알뜰하게 꾸려나갈 수 있는가를 따지는 유권자의 선택행위다. 처음부터 이렇듯 지역을 중심으로 생각했더라면 됐을 일을 야당 스스로 사태를 꼬이게 만들어버렸다.

관련기사



게다가 야당 내 속사정조차 당 대표들의 강경발언과 달리 한목소리가 아니다. 무공천을 철회해야 한다는 의견부터 지방선거 보이콧, 당 해산론까지 각종 주장이 나오면서 당내 반발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신당 선언 당시만 해도 40%에 육박했던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이 최근 들어 30%대 초반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 것도 결국은 내부 불협화음에 대한 유권자들의 거부반응이라 할 수 있다.

어차피 시간적으로나 물리적으로나 선거법 개정은 불가능하다. 그러잖아도 지방은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지방재정 여건을 비롯해 주민복지 등 현안이 수두룩하다. 새 정치에 대한 국민적 기대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이제 기초선거 논란을 접고 지역밀착형 정책공방으로 선거에 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