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與 "내년 전대서 대통합 추진" 합의

■ 우리당 워크샵 당 진로 놓고 난상토론<br>통합신당파-당사수파 날세운 공방전<br>갈등 임시봉합 불구 구체 접점 못찾아<br>"전당대회가 고별행사 될 가능성 커"

김근태(왼쪽부터)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원혜영 사무총장 등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당 소속 의원워크숍에서 심각한 표정으로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폭발 직전까지 다다랐던 열린우리당의 내부 갈등이 27일 의원 워크숍을 통해 임시봉합됐다. 통합신당파와 당사수파가 당의 진로를 놓고 난상토론을 벌인 끝에 ‘민주세력 및 미래세력과 대통합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대통합의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양 진영이 여전히 ‘당 해체를 통한 통합신당 창당’과 ‘당 체제의 리모델링’전략 사이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번 합의는 결별의 시점을 내년 2월의 전당대회 때까지 미뤄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열린우리당은 27일 국회에서 개최한 의원 워크숍에서 당의 정계개편 추진방안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벌인 끝에 ▦전당대회(내년 2월 14일)에서 민주세력 및 미래세력과의 대통합을 결의할 것 ▦전당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당 내부 차이를 극복하고 단결된 자세로 질서정연하게 임할 것 등을 합의했다. 이는 통합신당 추진 문제를 전당대회 이전까지는 논쟁하지 말고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해달라는 뜻으로 해석됐다. 결국 당내 이견이 여전함을 방증하는 것이다. 우상호 대변인조차 이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사수파도 열린우리당이 환골탈태해 신당을 만드는 데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게 확인됐다”면서도 “남은 것은 어떤 신당을 만드느냐의 문제”라고 단서를 달아 결국 통합신당 추진 여부에 대해 아무런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음을 시사했다. 실제로 이날 워크숍에선 당내 각 진영간 치열한 설전이 이어졌다. 특히 최근 당의 진로 문제에 관한 의원 설문조사를 주도했던 박병석 의원은 워크숍에 설문조사 결과를 최초로 공개하며 포문을 열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85명중 94.1%인 80명이 통합신당에 찬성했고, 2명만이 반대의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내에선 통합신당 지지세력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인 것이다. 신당 추진을 지지하는 주승용 의원도 “열린우리당에는 당선 가능성이 있는 대권후보가 없다”며 “김근태, 정동영, 천정배 이런 분들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우리당의 후보이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라며 열린우리당의 현재 틀로는 정치적 희망이 없음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반한나라당 세력은 다 함께 모여야 한다”며 “(당내 의원) 80명이 통합신당하자고 하니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형일 의원도 친노파 등 당사수 세력을 겨냥해 “대화로 못 풀 일은 없지만 진정으로 합의를 이루기 어렵다면 합의 이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강경 입장을 나타냈다. 심지어 일부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이 아예 탈당해야 한다며 친노 진영과의 결별론에 기름을 끼얹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중도파 의원들의 ‘신당 속도조절론’도 제기됐다. 중도파인 오영식 의원은 “평화개혁세력을 대통합한다는 명분을 내걸고 분열을 야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통합신당파를 겨낭했다. 그는 “통합신당으로 가는 방향은 맞지만 (통합신당에 대해)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역설, 통합의 대의와 명분 문제를 거론했다. 이 같은 논쟁 속에 당사수파는 ‘통합신당은 지역정당으로 후퇴하는 것’이라는 논리로 맞섰다. 친노파인 김형주 의원은 기조발제에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고건 전 총리 등만 합치면 소통합에 불과하다”며 “비대위는 중앙위원회 권한을 회복시켜줘야 한다”고 비판했다. 당사수파는 또 신당파가 내년초 전당대회에서 사실상 당을 해체하려는 시도를 보일 것이라는 판단 아래 전대 의제와 규칙, 일정에 대해서도 “기간당원제 폐지를 골자로 한 당헌ㆍ당규 개정과 기초당원제 중심의 전대 개최는 불법”이라고 압박했다. 열린우리당의 한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통합신당파와 당사수파 간에 접점을 찾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명확해졌다”며 “내년 2월의 전당대회는 양 진영이 갈라서며 서로 독자적인 정계개편 시나리오를 추진하는 고별행사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편 당사수파 당원모임인 ‘전국당원대회 준비위원회’는 이날 오후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갖고 준비위원회를 ‘혁신운동본부’로 확대 개편하기로 결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