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출 연체율 3년4개월來 최고

지난달 1.67%… 금융권 자산 건전성 관리 적신호


올해 들어 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뛰고 있는데다 가계 및 대기업 대출 연체율도 꿈틀거리고 있어 금융권의 자산건전성 관리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1.67%로 작년 말 대비 0.59%포인트 뛰었다. 2005년 10월 이후 3년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2.31%로 작년 말 대비 0.84%포인트나 상승했고, 가계대출 연체율도 0.89%로 0.07%포인트 올랐다. 특히 중소기업 연체율은 0.97%포인트 급등한 2.67%를 기록, 2005년 5월 이후 3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융권의 연체대출 규모가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금융권의 자산건전성도 점차 악화되고 있다. 주요 금융권역의 전체 대출 규모는 1,261조2,000억원으로 이 중 연체금액은 3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은 올해 2월 말, 보험사는 1월 말, 카드사.저축은행ㆍ상호금융회사는 작년 말이 기준이다. 은행권의 연체대출 규모는 15조4,000억원으로 2007년 말 대비 9조6,000억원이나 급증했다. 가계와 대기업의 연체 대출규모는 각각 3조4,000억원, 6,000억원으로 비교적 규모가 크지 않지만 중소기업 연체규모는 11조4,000억원에 달한다. 저축은행 연체금액은 6조9,300억원(연체율 14.70%)에서 8조5,500억원(15.60%)으로, 상호금융회사는 5조8,400억원(4.00%)에서 6조4,200억원(3.89%)으로 각각 불어났다. 보험사의 연체금액은 2조8,000억원(3.93%)에서 3조1,400억원(3.94%)으로, 카드사는 1조800억원(3.79%)에서 1조1,600억 원(3.43%)으로 각각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체율이 중소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나는 등 자산건전성이 점차 악회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연체율 동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잠재부실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