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작년 인구이동률 17.7%… 외환위기 이후 최저

경기침체 따른 취업난, 부동산경기 위축이 원인<br>신행정도시 충남 인구순유입 사상 최대

지난해 인구이동률이 경기침체로 인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신행정도시가 건설될 연기.공주 지역이 있는 충청남도의 인구 순유입 규모는 관련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많았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04년 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행정구역상읍.면.동 경계를 넘어 주거지를 옮긴 사람(전입신고기준)은 856만8천명으로 전년의951만7천명보다 10.0%(94만9천명)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평균 주민등록인구에서 이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인구이동률도 17.7%에 그쳐 1998년 이후 가장 낮았다. 인구이동률은 1998년 17.4%에서 1999년 20.0%, 2000년 19.0%, 2001년 19.4%, 2002년 19.9%, 2003년 19.7% 등으로 19∼20%대를 유지했으나 지난해에 대폭 떨어졌다. 통계청은 인구이동의 가장 큰 요인은 취업에 따른 직장 변화와 거주지 변경이라고 밝혀 경기침체에 따른 취업난과 부동산경기 위축이 낮은 인구이동률의 원인으로분석됐다. 또 전입자에서 전출자를 뺀 인구 순이동 규모를 시도별로 보면 경기도(18만8천875명), 충남(3만4천983명), 대전(2천616명), 울산(1천764명) 등은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았고 충남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70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충남 인구의 순이동이 대폭 증가한데는 신행정도시 영향도 있지만 이보다는 아산.탕정에 공단이 생기고 삼성전자 등이 입주하면서 이주자가 대거늘어난 영향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실제 공주의 지난해 인구 순이동은 -527명이었고 연기도 1천531명에 그쳤지만아산과 인접한 천안은 4만1천683명으로 충남 전체의 순이동보다 많았다. 이외에 서울(-4만7천204명), 부산(-3만3천229명), 대구(-1만3천327명), 인천(-1천335명), 광주(-3천148명), 강원도(-8천342명), 충청북도(-5천817명), 전라북도(-5만969명), 전라남도(-3만2천252명), 경상북도(-2만6천921명), 경상남도(-5천611명),제주도(-83명)는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았다. 4대권역별 인구 순이동은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이 14만336명으로 지속적인 순인구 유입세를 유지했고 중부권(대전.강원.충북.충남)은 2만3천440명으로 5년만에순인구 유입세를 보였다. 하지만 호남권(광주.전북.전남)과 영남권(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은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각각 8만6천369명과 7만7천324명이 많아 순인구 유출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인구이동률은 여성이 17.8%로 남성보다 0.2%포인트 높았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