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경 펀드 닥터] 일반주식형 7.37% 하락

배당주형 '상대적 선전'


각국의 시장안정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물경제에 대한 우려와 금융위기 확산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환율이 급등세를 보이고 코스피 지수가 급락했다. 이에 국내주식펀드 수익률이 2주째 하락했고 연초 후 손실폭은 31.31%로 확대됐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10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일반주식 펀드는 한 주간 7.37%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1300포인트 선 아래로 무너지며 8.79% 급락했지만 전기전자업종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인 것이 펀드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미국 제조업 경기와 고용지표 악화 등으로 철강과 기계, 조선주를 중심으로 하락폭이 크게 나타나면서 관련 업종 투자비중이 높은 펀드들의 성과가 부진했다. 코스닥 지수도 환율 급등 등의 영향으로 인터넷, 건설,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14.14% 급락했다. 대형 IT종목이 선전했으나 코스닥 시장이 약세를 보이면서 IT 섹터펀드들의 성과도 코스닥 투자비중에 따라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중소형주가 각각 마이너스 12.70%, 마이너스 11.78%로 대형주(-8.18%)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중소형 주식펀드는 마이너스 11.06%로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배당주식펀드는 마이너스 7.33%로 상대적으로 선전했고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인덱스 펀드는 같은 기간 7.67% 하락했다. 이외에 주식투자비중이 주식형보다 낮은 일반 주식혼합 펀드와 일반 채권혼합펀드는 각각 마이너스 3.63%, 마이너스 1.94%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반 채권펀드는 주간 0.12%(연환산 11.4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 주 채권 금리는 원ㆍ달러 환율 급등, 아이슬란드 등 유럽 국가들의 금융 위기 우려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금융통화위원회(9일)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 및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영향으로 급락했다. 한 주간 국고채 1년물과 3년물 유통수익률은 각각 0.27%포인트, 0.37%포인트 하락했다. 금리가 크게 하락하며 듀레이션(잔존만기 유사개념)이 긴 우량채권과 중기채권 펀드들이 우수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중기채권펀드는 0.94%(연환산 85.47%), 우량채권펀드는 0.44%(연환산 40.34%)의 수익을 기록했다. /제로인 조성욱 펀드애널리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