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장관급회담 재개] 金답방.경협논의 가속도 기대

정부가 6일 '남북장관급회담 15일 개최'를 북측에 제안한 것은 최근 무르익고 있는 남북대화 재개 분위기를 십분 활용하자는 뜻으로 풀이된다.북러, 북중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부시 미 대통령의 10월 방한이 임박한 시점에서 북한이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손을 내밀' 시점이라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따라서 6개월만에 재개되는 이번 장관급회담이 성사될 경우 지난해 정상회담 이후 조성된 화해ㆍ협력의 모멘텀을 이어가는 계기로 작용, 남북관계의 진전속도도 예상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당국자는 "장관급회담이 열리면 이미 합의된 사항의 미이행 사안과 남북이 새롭게 논의해야 할 사안들에 대해 가닥을 잡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장관급회담을 통해 ▲ 경의선 연결 ▲ 이산가족문제 해결 ▲ 개성공단 ▲ 금강산 육로관광 ▲ 경협 4대합의서 등에 대한 후속논의에 착수할 것이라는 의지를 강하게 밝혀 왔다. 특히 지난 3일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이 방북기간중 "북한 개방유도"를 천명한 것으로 알려져 북한이 이번 장관급회담을 통해 경의선 철도ㆍ도로연결, 금강산 육로개설, 남북 경제시찰단 교환방문 등에 전향적인 입장을 보일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 문제를 다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이미 지난 3월 무산된 제5차 장관급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라도 남북정상회담 일정에 대한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부 당국자는 "이번에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 문제를 반드시 논의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홍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