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임 사무관 최고 인기부처는 여가부

경쟁률 4.3대 1… 문화부 뒤이어<br>연수성적 1·3등은 기재부 선택

내년부터 각 부처에 투입되는 신임 사무관은 여성가족부와 교육부ㆍ통일부ㆍ문화재청 등에서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성적 1ㆍ3등은 기획재정부를, 2등은 통일부를 택했다.

3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5급 사무관 공채(행정고시)에 합격해 올 4월부터 6개월여간 교육을 마친 신임 사무관 321명을 배치한 결과 경쟁률이 높은 곳은 여가부로 4.3대1을 기록했다. 여가부는 세종시로 옮기지 않고 서울에 남는다.


문화체육관광부가 4.1대1로 뒤를 이었고 교육부 3.8대1, 통일부 3.3대1, 국토교통부ㆍ법제처 각각 3.2대1 순이었다. 청 단위도 경쟁률이 높아 문화재청은 6.0대1에 달했고 관세청은 5.3대1, 국세청은 3.4대1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교육원 수료성적을 기준으로 전체 1ㆍ3등을 차지한 신임 사무관은 기재부를 택했다. 기재부는 신임 사무관 배치 때 수석을 대부분 독점해왔으며 지난해에도 1~3위가 모두 기재부에 배치됐다.

2등은 통일부를 선택했다. 통일부는 안행부ㆍ국방부ㆍ외교부ㆍ여가부와 함께 세종시로 내려가지 않고 서울에 남는 부처다.

부처 배치 결과 기재부가 가장 많은 28명을 뽑았으며 국토부와 산업부는 각각 18명, 미래창조과학부는 15명, 안행부와 특허청은 각 14명, 고용노동부와 국세청은 각 13명, 복지부는 12명, 환경부는 11명을 선발했다.

신임 사무관은 교육원에서 6개월간 법령안과 보고서 작성 등 실무교육과 현장체험교육을 받은 뒤 일하고 싶은 부처를 1~3순위까지 적어낸다. 각 부처는 부처별 설명회를 한 뒤 지망자를 상대로 면접을 봐 행정고시 1ㆍ2차 시험 성적과 교육원 성적, 면접 성적을 합쳐 사무관을 선발한다. 신임 사무관은 내년 4월29일 배치 받은 부처에 정식 임용된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