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자체장에 듣는다] <9·끝> 한창희 충북 충주시장

"교통·전력 등 산업인프라 탄탄"<br>기업도시와 함께 시너지 효과 기대<br>전국 접근성 좋아 균형발전도 가능



“국도와 고속도로가 확충되면서 충주가 중부 내륙의 거점도시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충주를 중심으로 내륙개발에 나설 경우 충북 북부는 물론 강원 남부, 경기 남부, 경북 북부지역까지 균형적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창희 충북 충주시장은 “청주ㆍ청원권의 경우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반면 충주, 제천 등 북부권은 상대적 낙후돼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고속교통망, 전력, 용수, 초고속 통신망 등 완벽한 산업 인프라를 구축한 충주가 최적지임에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한 시장은 “충북에 배정된 공공기관 단독으로 자족도시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기업도시로 선정된 충주에 혁신도시가 들어설 경우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충주는 전국적인 접근성이 좋아 혁신도시가 들어설 경우 이전 효과를 전국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혁신도시 건설사업이 국가균형개발이라는 취지에서 추진되는 만큼 충주의 혁신도시 건설은 가장 적합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시장은 “충주시가 제시한 혁신도시 후보지는 국공유지가 70%를 차지해 전국 어느 곳보다 저렴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충주시 이외에도 외국계 대학유치, 특목고설립, 대학병원 건립, 영어마을 조성, 공동주택 특별분양, 전원주택용지 원가제공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공공기관 임직원 및 가족들이 충주로 이전하게 될 경우 월악산ㆍ소백산 국립공원, 충주호, 탄금대 등 수려한 자연환경과 골프장 및 리조트 등 각종 레저스포츠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등 삶의 질 또한 크게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 시장은 “충북지역으로 이전하게 될 공공기관은 모두 12곳으로 임직원 1,800여명과 가족 등 최대 5,000여명이 이전하게 될 것”이라며 “접근성과 균형개발취지 등 종합적으로 볼 때 최적지”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