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지구촌 IPTV 서비스 급물결에 합류

하나로 '하나TV' 상용서비스로 IPTV 물꼬 터

하나로텔레콤이 IPTV 전단계인 TV포털인 `하나TV'의 상용서비스를 시작함으로써 우리나라도 전세계적인 브로드밴드를 이용한 인터넷TV의 큰 물결에 동참하게 됐다. 아직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IPTV에 대한 정의와 규제를 둘러싸고 이견을 빚고 있어 IPTV 서비스가 지지부진하지만 TV포털 서비스가 실시됨에 따라 일단 교두보를 마련하게 된 셈이다. 더구나 방송통신의 구조개편 등을 논의할 범정부기구인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도 조만간 가동될 예정이어서 기술의 발달을 가로막고 있는 제도적 법적 장애물이 해소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홍콩을 비롯 전세계에서 통신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IPTV 서비스는 아직 시장이 성숙되지 않아 기대했던 것만큼의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TV포털과 IPTV = IPTV의 비즈니스는 TV를 통한 인터넷 접속, 인터넷 콘텐츠의TV 수용(TV포털, 주문형비디오), 다채널방송 등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로텔레콤의 TV포털은 말 그대로 PC가 아닌 TV를 포털화하는 개념이다. 디지털TV(DTV)를 기반으로 초고속인터넷 환경을 통해 고화질의 콘텐츠와 양방향 정보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다. IPTV의 상용화 전 단계로 인식되고 있는 TV포털은 수용자의 성향에 맞춘 방통융합 서비스 진화의 한 단계로 기존 지상파 방송서비스 뿐 아니라 오락ㆍ교육ㆍ금융ㆍ인터넷ㆍT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포털서비스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아직 모든 기능이 다 구현되진 않았지만 하나로텔레콤이 상용화를 시작한 `하나TV'는 IPTV 비즈니스 2단계까지 진입한 셈이다. KT는 지난해 홈엔 서비스를 시작하며 TV포털과 주문형비디오(VOD)의 시장 가능성을 검증한 바 있다. 하나로텔레콤이 TV포털 상용화를 우선 추진한 것은 방송사업자들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도 초고속인터넷망을 기반으로 한 방통융합 서비스를 선보이겠다는 생각에서다. IPTV의 경우 아직 법제도가 정비되지 않아 주무부서인 정보통신부와 방송위간 이견이 빚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국내에서 IPTV가 이처럼 논쟁을 빚고 있는 이유는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에게 영상이나 음성 등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이고 자동적으로 공급해 마치 하나의 방송채널을 보고 있는 것과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IPTV는 PC가 TV를 대체한다는 의미에서 한단계 더 발전해 양방향 대화형TV에 대한 가능성을 부각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 서비스할 수 있어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똑같은 내용을 보내주던 기존의 방송시스템과 확연하게 차별화된다. ◇ 외국의 IPTV = 미국ㆍ일본ㆍ이탈리아ㆍ독일ㆍ네덜란드 등의 전세계 대형 통신업체들은 휴대전화에 밀려 신규 가입자 수가 거의 정체된 유선전화를 대신할 수익원으로 브로드밴드를 활용한 IPTV 서비스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텔레콤이탈리아(TI)ㆍKPNㆍ도이치텔레콤 등이 일제히 IPTV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오는 2009년까지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5개국 IPTV 가입자수가 900만 세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의 NTT나 KDDI등도 통신위성(CS) 방송을 IPTV로 내보내고 있다. 미국도 이미 지난 해부터 버라이존커뮤니케이션스ㆍAT&T 등이 5년 내 보급률 20∼25%를 목표로 IPTV 서비스에 나섰다. 국가별로 보면 TI는 로마, 밀라노 등지에서 IPTV 서비스를 개시해 연내 256개 도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총 3억5000만 유로(약 420억원)를 투자해 ADSL 접속 속도를 초당 20MB 끌어 올렸다. 이용 요금은 IP전화, 인터넷 접속 기본 요금과 합쳐 월 45유로(약 5천400원)다. 스포츠나 영화를 집에서 언제라도 볼 수 있는 비디오 온 디맨드(VOD)서비스의 경우 프로그램 별로 요금이 추가된다. 네덜란드 최대 통신업체인 KPN도 IPTV 서비스를 개시했다. 총 48개 TV채널에서 수신된다. 도이치텔레콤은 독일 월드컵에 맞춰 10개 도시에서 일제히 서비스를 개시했고 영국의 BT도 6월부터 수만 가구를 대상으로 시험 방송에 나섰다. 미국의 버라이즌은 지난 해 가을 이후 텍사스주 등 총 7개 주 일부 지역에서 방송 서비스를 개시했다. AT&T도 46억 달러를 투자해 오는 2008년 말까지 텍사스주, 캘리포니아주 등을 중심으로 시청 가능 세대를 약 1천900만 가구까지 늘릴 계획이다. IPTV의 선두주자로 인정받고 있는 홍콩의 PCCW는 최근 부채 누적으로 어려움을 겪어왔으나 IPTV 서비스 도입을 통해 가입자 이탈을 막고 성장가능성을 열어두었다는 점이 매각과정에서도 높게 평가받았다. ◇ IPTV 도입을 위한 해결과제 = 기술적으로 IPTV 도입을 위해 가장 먼저 지적되는 부분은 서비스 품질(QoS) 문제이다. 일정한 대역폭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으면 TV서비스가 어렵기 때문에 압축기술인 MPEG4 또는 멀티캐스팅 기술, 광대역 가입자망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대역폭을 넓히고 이를 통해 QoS를 확보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KT와 하나로텔레콤은 기술적으로 이에 대한 대비는 충분하게 돼있는 상태라고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방송과 통신 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IPTV 서비스 도입을 위해서는 융합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 규제체계를 조속히 마련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통해 IPTV의 방송적 기능과 통신적 기능을 함께 고려한 새로운 산업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콘텐츠 산업을 비롯한 연관산업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는 것. 특히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가 상생(相生)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콘텐츠 부족에 시달리는 통신사업자와 거대자본의 위력을 못내 두려워하는 방송사업자들이 서로 윈윈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협력 구도를 만들어내려는 노력이필요한 시점이라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이제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할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에 방송계와 통신계의 지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