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强한 여당' 드라이브

김한길-강봉균 우리당 새 지도부<br>金 "당이 정책 이끌 수 있게 정부가 도와달라" 주문<br>姜, 일자리 만들기 특위서 관계자 허위보고 질책

김한길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1일 청와대 만찬 첫머리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당이 정책을 주도하는 힘있는 여당이 돼야 한다”며 “정부가 도와달라”고 주문했다. 김 원내대표의 ‘강한 당’에 대한 의지가 담긴 말로 당정협의 과정서 정책주도권을 쥐겠다는 의지의 완곡한 표현이다. 노 대통령은 김 원내대표에게 “(사학법 등원 협상과 관련) 협상이 어떻게 이렇게 일방적일 수가 있나. 이전 지도부는 정체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았는데 새 지도부에 신뢰가 간다”고 말해 힘을 실어준 셈이다. 김 원내대표와 강봉균 정책위의장 투톱 체제인 열린우리당의 새 원내지도부가 ‘강한 당’에 시동을 걸었다. 당권후보인 정동영 전 장관 계열로 ‘실용주의’로 분류되는 김 원내대표가 선출되면서 ‘강한 당’을 향한 드라이브는 이미 예견됐다. 그는 취임 후 원내대표단이나 정책위의장단과의 대면식에서 “당이 살고 국민에게 다가가려면 당이 국정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만 당정청간에도 생산적 관계가 형성된다”고 거듭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새 지도부가 처음 참석한 고위 당정협의에서도 이 같은 의지가 드러났다. 김 원내대표는 인사말에서 “당정관계에 있어 해당 상임위와 부처간 속깊은 얘기가 있어야 한다. 앞으로 부처도 이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상임위와 우선적이고 실질적인 논의를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고성 멘트다. 이 자리엔 이해찬 국무총리, 한덕수 경제부총리 등 행정부 수장들이 있었다. 강 정책위의장도 여간해선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는 ‘강성’으로 꼽힌다. 이들이 모두 ‘당이 정책을 주도하는 강력한 여당’을 외치고 있다. 전날 개최된 ‘일자리 만들기 당정 공동 특별위원회’에서 강 정책위의장의 깐깐함 때문에 정부 관계자들이 진땀을 흘렸다는 전언이다. 정부가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자 강 정책위의장이 “일자리 창출 목표가 40만~50만명인데 6만명 밖에 안되는 사회적 일자리를 전부인 것처럼 보고하느냐. 규제완화나 외자유치 등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질타했다는 것. 이 같은 원내 투톱의 강공 드라이브는 앞으로 전개될 부동산 후속대책 관련 당정 협의나 증세-감세 논쟁에서 적잖은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 건교위원장을, 강 정책위의장은 재경부장관을 지낸 인물로 부동산 문제와 세제와 관한한 전문가를 자임하고 있다. 특히 강 정책위의장은 2004년 정치권의 반대를 무릅쓰고 경기부양을 위한 10조원 규모의 국채발행을 주도한 대표적인 재정 확대론자로 정치권 최대 이슈 중 하나인 양극화 재원 마련을 위한 세제 개혁을 위해 여권내 선봉장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